정치 대통령실

"부총리-정책실장-기업 총수 상시 소통...생산·수입 행정절차 최소화 신속 지원"

文대통령 주요 발언

추경예산 반영 의지도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계 주요 인사 초청 간담회에 입장하며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계 주요 인사 초청 간담회에 입장하며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전례 없는 비상상황인 만큼 무엇보다 정부와 기업이 상시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민관 비상대응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30대 기업 총수 및 4개 경제단체장을 청와대로 초청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주요 그룹 최고경영자와 경제부총리, 청와대 정책실장이 상시 소통체제를 구축하고 장·차관급 범정부 지원체제를 운영해 단기적 대책과 근본적 대책을 함께 세우고 협력해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사태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단기적 대책으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수입처 다변화와 국내 생산의 확대 등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며 “인허가 등 행정절차가 필요할 경우 그 절차를 최소화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속한 수습을 위해 이번 추경에 관련 예산을 반영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빠른 기술 개발과 실증, 공정 테스트 등을 위해 시급히 필요한 예산은 국회의 협조를 구해 이번 추경예산에 반영하겠다”며 “국회도 필요한 협력을 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부품·소재·장비 산업의 육성과 국산화를 위해 관련 예산을 크게 늘리겠다”며 “세제와 금융 등의 가용 자원도 총동원할 것”이라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기업에 협력을 당부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만으로는 안 되고 기업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부품·소재 공동개발이나 공동구입을 비롯한 수요기업 간 협력과 부품·소재를 국산화하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달라”고 언급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