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내 어린이 예방접종률 최대 97%

선진국보다 3~10%P 높아

필수백신 무료접종 등 성과




소아마비, 홍역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주요 백신 6종의 우리나라 어린이 접종률이 97%로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 선진국보다 3∼10%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2012년, 2015년∼2017년에 출생한 전국 170만명 어린이를 대상으로 접종기록을 분석한 ‘2018년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을 24일 발표했다.


국내 연령별 예방접종률은 생후 12개월(2017년생, 6종 백신, 16회) 96.8%, 생후 24개월(2016년생, 8종 백신, 21회) 94.7%, 생후 36개월(2015년생, 10종 백신, 25∼26회) 90.8%, 생후 72개월(2012년생, 7종 백신, 18∼20회) 88.3%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접종률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생후 72개월의 경우 접종 간격이 일정치 않고 기초접종과 추가 접종의 간격이 긴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의 접종률이 94%, 일본뇌염(JE) 백신 접종률이 93.5%로 다른 백신의 평균 접종률(약 96%)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후 36개월 어린이의 예방접종률을 미국, 호주, 영국 등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예방접종률은 97.2%로 외국 예방접종률 대비 평균 3~10%P 높았다. 미국의 예방접종률은 한국보다 10%P이상 낮은 86.9%, 호주는 94.3%, 영국은 93.9%로 나타났다. 소아마비, 홍역, 디스테리아·파상풍·백일해, 수두, B형헤모필루스인풀루엔자, 폐렴구균으로 구성된 비교대상 6종 백신에 대한 접종률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의 백신 예방접종률이 높은 요인으로 ‘만 12세 이하 어린이 대상 필수예방접종백신의 무료접종’, ‘적기접종 알림 및 접종 지연 안내를 위한 보호자 개별 문자메시지 발송’, ‘초등학교,중학교 입학 시 접종력 확인 등 접종률 관리 강화’를 꼽았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