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이 고점을 찍은 지난 2015년 이후 최근 2~3년 동안 서울 아파트값은 크게 올랐지만, 수도권 입주물량 증가 등의 이유로 전세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전세가율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9년 7월 말 기준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은 53.60%로, 7년 전인 2012년(52.61%) 수준에 근접했다. 고점을 형성했던 2015년 70.92%에 비하면 17.32%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다만 전세가율은 서울 자치구마다 편차가 큰 편이다. 지난해까지 서울 매매가격 상승을 이끌었던 강남 4구(44.15%~50.28%)와 △마포(58.23%) △용산(47.35%) △성동(57.27%) 등 마·용·성을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낮게 형성돼 있다. 반면 △중랑구(69.69%) △강북구(66.61%) △구로구(66.15%) △관악구(65.68%) 등 지역은 상대적으로 서울 내에서 높은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70% 안팎의 높은 전세가율이 나타났던 지난 2015년에서 2017년 사이 실수요뿐만 아니라 전세 레버리지를 활용한 갭투자 또한 늘어났던 점을 봤을 때 전세가율이 하락하면서 실수요자의 매매전환 욕구가 줄어들고 투자수요도 유입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전세가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매매전환에 투입되는 비용 부담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며 “현재 전셋값이 매매가격의 절반 수준인 만큼 실수요자가 내 집 마련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또한 “전세가율이 현재처럼 50%대로 낮아져 있는 상황에서는 매매가격이 과거처럼 상승 폭을 확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