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남북 '평화경제'로 단숨에 日 따라잡아"

■수보회의서 '극일' 해법으로 '평화경제' 제시

"남북·북미관계 굴곡있다고 쉽게 포기할 일 아니야"

日에 "경제력만으로 지도적 위치 설 수 없어" 경고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이번 일(일본의 경제보복)을 겪으며 우리는 평화경제의 절실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남북 간의 경제협력으로 평화경제가 실현된다면 우리는 단숨에 일본의 우위를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극일(克日)’의 해법으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을 통한 ‘평화경제’를 제시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일본경제가 우리 경제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경제 규모와 내수 시장”이라며 “일본은 결코 우리 경제의 도약을 막을 수 없다. 오히려 경제 강국으로 가기 위한 우리의 의지를 더 키워주는 자극제가 될 것”이라 말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경제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에 굴곡이 있다고 해서 쉽게 비관하거나 포기할 일이 아니다”라며 “긴 세월의 대립과 불신이 있었던 만큼 끈질긴 의지를 가지고 서로 신뢰를 회복해 나아가야 가능한 일”이라 설명했다. 이어 “평화경제야말로 세계 어느 나라도 가질 수 없는 우리만의 미래라는 확신을 갖고 남북이 함께 노력해 나갈 때 비핵화와 함께하는 한반도의 평화와 그 토대 위에 공동번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또한 문 대통령은 “우리는 이번 일을 냉정하게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대한민국을 새롭게 도약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일본의 무역보복을 극복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일본 경제를 넘어설 더 큰 안목과 비상한 각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본을 향해서도 문 대통령은 “일본 정부는 그간 아픈 과거를 딛고 호혜 협력적 한일관계를 발전시켜온 양 국민에게 큰 상처를 주고 있다”며 “‘과거를 기억하지 않는 나라, 일본’이라는 비판도 일본 정부가 스스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자유무역질서를 훼손하는 것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도 매우 크다. 일본은 경제력만으로 세계의 지도적 위치에 설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 덧붙였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