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로우대권 사용 얌체족 빅데이터로 잡는다

어르신 이용패턴과 다른 경로 추출

서울시 내달부터 무임승차 단속

서울시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경로우대권 무임승차자를 적발한다.


서울시는 다음 달부터 무임승차 기획단속을 위해 경로우대용 교통카드 데이터를 분석해 활용한다고 6일 밝혔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무임승차 단속은 65세 이상 어르신의 일반적인 이용 패턴과 다른 경로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경로우대권을 사용해 아침 7시40분경 A역을 출발, 8시20분께 B역에 도착한 사람이 12시간이 지난 저녁 9시 무렵 다시 B역에서 열차에 탑승해 9시25분경 A역으로 돌아오는 패턴을 평일 22일 중 21일을 반복적으로 보였을 경우 부정승차로 간주된다. 65세 이상 어르신이 아니라 직장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부정사용자로 추정되는 교통카드의 일련번호와 현장 적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하철역 및 시간대까지 예측하고 지하철 운영기관에 매월 통보해 단속 성공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단속에 성공하면 운임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주거지~근무지를 아침·저녁 반복적으로 오가고 근무지(추정) 체류시간이 9시간 이상인 ‘직장인 이용패턴’이 평일 15일 이상 나타나는 이용자가 지난해 11월 한 달 동안에만 1만8,000명이 넘었다. 이 중 80%가 부정사용자일 경우 운임손실은 연간 112억 원에 달한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부정승차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단속은 여전히 역무원의 눈썰미에 상당부분 의존하는 실정”이라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단속을 통해 우대용 교통카드가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제고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쓰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