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기업서 부품·소재 리스트 받아 中企 생산가능 제품 국산화 추진"

박영선 장관, 애로청취 간담회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청취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청취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대기업이 원하는 부품·소재 리스트를 받아 이 중 국내 중소기업이 만들 수 있는 제품을 골라 우선 국산화를 추진하겠다고 6일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인 애로 청취 간담회’를 연 뒤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중기부는 대기업에 ‘국산화하기 좋은 부품 리스트를 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이 리스트를 받아서 생산할 수 있는 중소기업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이어준 뒤) 정부가 연구개발을 지원하면, 서로 (품질과 납품 보장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 규제 대응책으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카드를 꺼냈다. 하지만 거래선 변경, 연구개발(R&D) 기간 및 비용, 중소기업 품질 등 여러 이유로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중기부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한 뒤 공동 R&D를 지원하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품목에 대해 박 장관은 “대기업이 필요로 하고 국내 중소기업에서 개발과 생산이 가능한 제품”이라며 “대기업으로부터 납품을 보장받을 수 있는 품목을 기업으로부터 직접 발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중기부는 이를 운영할 실질적인 기구도 마련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선임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산하에 대·중소 상생협의회를 신설한다. 협의회에는 6대 업종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해 제품 공동 개발과 규제 완화를 건의한다. 박 장관은 6대 업종별 대기업이 어느 곳인지에 대한 질문에 “일본의 규제 3대 품목 업종에 3개 업종이 추가됐다”며 협의회에 삼성전자가 참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국산화 가능성이 높은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 대표 8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기술이 있어도 양산과 대기업 납품이 어려웠던 이유 등 그간의 애로사항을 박 장관에게 설명했다.

박 장관은 “이번 위기를 대한민국 경제에서 부족했던 점을 바꾸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현장에서 대·중기 분업적 협력을 가장 바라는 만큼 앞으로 대·중기 공동 연구개발 투자, 실증 테스트 베드 조성, 상생 협력 플랫폼 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