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지역기업 脫 일본 지원한다…부품소재 수입국 다변화 추진

부산시가 부품소재 수입국을 일본에서 미국, 독일 등 다른 나라로 변경하려는 기업을 돕기로 했다. 시제품 구매, 해외 판매자 초청·방문 경비, 물류비 등을 지원해 수입시장 다변화를 꾀해 일본 수출규제 위기를 극복하자는 취지에서다.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지역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려고 ‘수입국 다변화 지원사업’을 벌인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일본 수입 의존도나 피해 규모 등을 조사하기조차 힘든 영세 기업이 많은 부산의 특성상 이들 기업이 입을지 모르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수입시장 다변화를 돕기 위해 마련됐다.


김윤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오사카 무역사무소, 부산경제진흥원 등 4개의 수출기업 피해센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지역 기업의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향후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부산지역 제조업 기업들의 부품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수출 주도의 기존 통상정책에서 처음으로 수입 관련 사업을 개발한 것이라 부담은 있지만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긴급히 시행한다”고 이번 지원 사업의 배경을 설명했다.

관련기사



시는 지역 기업의 수입시장 확대를 위한 시제품과 표본 구입비를 비롯해 항공과 선박 등을 통한 수출운송, 통관 및 보관비용을 지원한다. 또 수입계약이나 상담을 위해 개별적으로 해외 판매자를 국내로 초청할 때 쓰이는 항공료와 숙박비, 수입 관련 상담으로 다녀온 해외출장 항공료 등을 일부 제공하기로 했다. 이밖에 통·번역 비용과 기업에서 제안하는 맞춤형 특수 비용까지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긴급하게 시행되는 만큼 일본에서 주요 부품과 소재 등을 수입하는 제조기업 15개사를 대상으로 기업당 600만원 정도를 지원한다. 한일 무역 분쟁이 장기화하면 추경을 통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기업 수출입 통계 정밀분석, 글로벌 소재부품 구매사업 등 지역기업의 피해 최소화와 생산구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게 부산시의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오는 15일부터 부산시 해외마케팅통합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부산지역 총 수입액 148억 달러 중 일본에서 수입한 금액은 25억 달러로 일본 의존도는 16.8%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 수입 상위 100대 품목만 놓고 보면 일본 의존도는 35.3%로 높은 편이다. 기계, 철강·금속, 전자·전기 등 주로 지역 주력산업 생산에 필요한 품목이어서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관련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