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AI 기반 후두암 조기진단 플랫폼 개발

양산부산대병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세계 첫 내시경데이터 증강기법 활용

내시경 데이터 활용 인공지능(AI) 진단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내시경 데이터 활용 인공지능(AI) 진단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내시경 데이터 증강기법을 이용한 인공지능(AI) 기반 후두암 조기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


양산부산대병원 이비인후과 성의숙·이진춘·이일우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강종석 부산울산경남지원장과 함께 AI를 기반으로 후두암을 일찍 진단해 치료 확률을 높이는 기술을 특허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관련기사



후두암의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면 후두를 적출해 말을 못하게 될 수 있고 심하면 입으로 식사도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조기에 진단하면 방사선 치료 없이도 후두암 부위만 절제하면 예후가 좋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후두암 내시경 영상 판독을 두경부 외과와 후두음성 전문의가 하는데 1·2차 병원에서 전문가가 별로 없고 3차 대학병원에서는 많이 기다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후두음성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암 여부를 판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직은 개발 시작단계이나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 딥러닝 기법으로 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후두암뿐 아니라 내시경으로 진단할 수 있는 모든 질병에 AI 판독 시스템을 적용하겠다는 게 연구진의 포부다. 성 교수는 “AI 플랫폼을 통해 진료를 표준화하고 의료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며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