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파우치필름 국산화 위해 국내사와 협력"

율촌화학 등과 테스트 진행

김명환 소장김명환 소장



LG화학(051910)이 “파우치 필름 국산화를 위해 율촌화학을 비롯한 국내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은 이날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 주최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ABC(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19’ 강연을 통해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대응책에 대해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파우치 필름은 파우치형 배터리 외부를 감싸 내용물을 보호하는 하는 제품으로 일본 DNP와 쇼와덴코가 전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LG화학 외에 SK이노베이션(096770) 등 국내 주요업체들은 파우치 필름의 대부분을 일본 업체로부터 조달받고 있다.

관련기사



김 소장은 이와 관련해 “일본 DNP와 쇼와덴코 등에 (파우치 필름을) 의존하고 있는 것은 맞고 이들 회사가 CP기업(자율준수규정 인증)이기 때문에 원칙대로 하면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일본 정부가 언제든 마음먹은 대로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율촌화학과 한국알루미늄 등이 배터리 파우치를 생산하고 있으나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일본산보다는 못하다”며 “지금까지 국적을 불문하고 품질이 좋고 가격이 더 싼 제품을 써야 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파우치 필름의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중국에 수출하고 있는 율촌화학의 파우치 필름 테스트도 했다”며 “율촌화학이 아직 품질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지만 앞으로 율촌 등 한국 어떤 회사와도 협력하면서 같이 국산화를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 또한 파우치 필름 국산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파우치 필름 조달과 관련해 다양한 국내외 업체들과 협력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