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불만표출 발언 자제해달라" 韓, 美대사 불러 항의 파장

지소미아 놓고 '한미 균열' 증폭

美 "11월 종료 전 입장 철회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연합뉴스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연합뉴스



조세영 외교부 제1차관이 28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를 서울 도렴동 청사로 불러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와 관련한 미 행정부의 공개적인 불만 표출 및 발언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외교부는 이날 해리스 대사와의 만남이 면담 형식이었다고 설명했지만, 외교가에서는 한국 정부가 사실상 미국대사를 초치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5면

조 차관은 해리스 대사에게 한일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양자관계의 맥락에서 검토·결정된 것으로 한미동맹과 무관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앞으로 미국 측과의 긴밀한 공조 하에 한미일 안보협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특히 조 차관은 해리스 대사에게 미국 정부가 한국의 이번 결정에 공개적으로 실망과 우려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발신하는 것은 한미관계 강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자제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차관은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가 독도 방어훈련을 언급하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저 (상황을) 악화시킨다”고 발언한 데 대해 해당 훈련은 영토수호 목적에서 연례적으로 이뤄졌음을 재차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리스 대사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알겠다고 했으며, 본국에 관련 사항을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해리스 대사를 불러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지소미아를 둘러싼 한미 간 이견이 증폭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랜들 슈라이버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안보 차관보는 한국 정부에 “재고를 바란다”며 지소미아 철회를 촉구했다. 또 27일(현지시간) AFP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미 고위당국자가 “지소미아가 유지되는 11월22일까지 미국은 한국이 생각을 바꾸기를 바랄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특히 외교적으로 한일 양국에 민감한 이슈인 우리 군의 독도 방어훈련까지 비판했다.



청와대는 이날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의 춘추관 브리핑에서 지소미아 종료에 대한 미국 내 불만과 관련해 “‘실망’은 미국이 동맹국·우호국과 정책적 차이가 있을 때 대외적으로 표명하는 표현”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한편 한일 외교당국은 29일 지소미아 종료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서울에서 국장급 협의를 진행한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