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27년만에 우주사령부 재창설…미중러 우주경쟁 가속화할 듯

트럼프 “우주에서 美 우위 위협받을수 없어”

독립 우주군 창설도 추진…의회 승인 대기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우주사령부 창설 선포식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EPA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우주사령부 창설 선포식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EPA연합뉴스



강대국들 간 우주 개발 경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이 지난 2002년 폐지한 우주사령부를 다시 창설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을 탈퇴해 군비 확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주 분야에서도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이 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우주사령부 창설을 선포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가장 높은 곳에서 미국의 우위를 지켜내기 위해 우주 사령부를 창설했다”며 “오늘은 획기적인 날이다. 미국의 국가안보와 국방에서 우주의 중심성을 인식하는 날”이라고 평가했다. 또 “우주사령부는 우주에서 미국의 우위가 의심받거나 위협받을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주사령부는 미소 냉전이 한창이던 1985년 미사일 방어와 감시 노력을 통합하기 위해 공군에 의해 처음 창설됐다. 그러나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자 테러와의 전쟁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우주사령부는 2002년 통합전략사령부로 합쳐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말 공군이 맡고 있던 우주 관련 임무를 떼어낸 뒤 독립된 조직을 설치해 우주에서의 군사·정보 노력을 총괄하도록 하라고 국방부에 지시했다.

관련기사



AP통신은 우주사령부 창설이 군사용이든 상업용이든 중국과 러시아가 보유한 대인공위성 무기의 교란에 취약할 수 있는 미국 인공위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주사령부 수준을 넘어 별도의 독립군인 우주군 창설을 줄곧 주장해 왔지만 아직 이 단계까진 이르지 못했다.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해안경비대 등 5군에 이어 6번째 군대를 창설하려면 의회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의회는 상원과 하원 일부 의원들의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우주군 창설을 승인하는 쪽으로 서서히 움직여 왔으며 8월 휴회가 끝나면 본격적인 타협이 시작될 것이라고 AP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우주군 창설 주장은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며 우주 분야에서 미국의 우위를 지키려는 작업이기도 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은 2045년까지 우주 기술과 개발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부상한다는 야심 찬 목표에 따른 우주개발 로드맵 보고서를 마련하고 태양계 행성 탐사용 우주기술과 핵추진 우주왕복선 개발 등을 추진 중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월 우주 공간에 기반을 둔 미국의 새 미사일 방어전략에 맞설 대응 계획 마련을 지시하는 등 미국의 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