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반도체 박막 증착 과정, 실시간으로 본다

생기원, 장비 내부서 바로 증착상태 관찰·분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허훈(사진 왼쪽에서 첫 번째)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허훈(사진 왼쪽에서 첫 번째)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도체 박막 증착 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됐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허훈 박사 연구팀이 화학기상증착 장비 내부에서 웨이퍼 위에 박막이 형성되는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측정·분석할 수 있는 ‘화학증착소재 실시간 증착막 측정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에는 박막이 제대로 증착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장비에서 박막을 꺼낸 뒤 별도의 분석기기로 검사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박막이 대기중에 존재하는 산소나 수분과의 접촉으로 변질돼 분석결과의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고 박막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원인 규명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화학기상증착 장비 내부에 박막 소재의 증착 과정을 측정·분석할 수 있는 In-situ(용기 내에서) 라만 분광(Raman spectroscopy) 장치를 설치해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냈다.

설치된 In-situ 라만 분광 장치는 단색광을 기체 또는 투명한 액체·고체에 쬐면 산란광속에 파장이 약간 다른 빛이 생기는 라만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


라만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특수한 빛의 배열인 ‘라만 스펙트럼’을 활용하면 장비 내부에서 바로 박막 소재의 농도나 결정구조, 결정성 등 다양한 물성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관련기사



또한 화학 증착에 필요한 화합물 및 반응가스, 박막 성장 온도나 시간 등 여러 변수를 측정·분석해 공정도 최적화할 수 있다.

연구팀은 한걸음 더 나아가 박막 물성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유전율(Permittivity)을 유추할 수 있는 분석기법도 개발했다. 유전율이란 전기장을 가했을 때 전기적 성질을 띤 분자들이 정렬해 물체가 전기를 띠는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를 말한다.

유전율 분석결과는 고집적화와 고속화 구현에 유리한 저유전율 특성을 지닌 반도체 물질을 개발하는 데 활용된다.

연구팀은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저 유전율 반도체 물질을 증착시켜 그 과정과 처리조건에 따른 물성변화를 라만 스펙트럼으로 실시간 분석하는데 성공, 신규 박막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허훈 박사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기존 Ex-situ 박막 분석 방식의 한계를 국내 기술력으로 극복해낸 사례인 만큼 관련 소재·장비 국산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반도체뿐만 아니라 OLED 소재, 2차전지 또는 태양전지용 전극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천안=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