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美 기업 위성 활용 北정보 수집 추진...지소미아 종료 대안 찾나

한민구(오른쪽)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2016년 11월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일본대사가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을 체결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민구(오른쪽)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 2016년 11월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일본대사가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을 체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해외 민간 기업이 운용하는 위성을 다른 나라의 군사 정보 수집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으로 공백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 군사정보 수집 능력을 보강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요미우리신문은 23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방위성이 2020년도 예산 요구안(부처 차원의 예산안)에 관련 조사비 예산으로 1억엔(약 11억600만원)을 책정했다고 보도했다.


방위성은 이 예산으로 미국 등의 민간 기업들이 추진 중인 우주 비즈니스 동향을 조사해 자위대가 다른 나라 군사 정보를 수집하는 데 민간 기업들의 위성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관련기사



일본은 고성능 카메라로 낮에 지상의 모습을 촬영하는 광학 위성 2기와 야간이나 기후가 좋지 않을 때 전파를 사용해 촬영하는 레이더 위성 5기 등 7기의 첩보 위성을 운용하고 있다. 장차 이를 10기로 늘릴 계획도 갖고 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이 각각 50기 안팎의 첩보 위성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적은 숫자다.

일본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 등이 다른 나라의 위성을 공격할 수 있는 ‘킬러 위성’이나 전자파 무기를 활발히 개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첩보 위성을 최대한 늘리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첩보 위성은 1기당 발사 비용이 400억~500억엔에 달해 민간 기업의 위성을 자국의 정찰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가 비용을 낮추면서도 민간 위성을 통해 북한, 중국의 군사 활동에 대한 정보수집 능력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한일 지소미아 종료 후에 정보 수집 활동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일 관계 악화 상황에서 정보 수집 역량이 약화할 것으로 보고 독자적인 대북 첩보 능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