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로 기업 측에서 제품의 하자를 인정하고 사후처리에 나서는 ‘자발적 리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5일 각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 등의 2018년도 리콜 실적을 분석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 기본법 등 관련 법률에 따른 총 리콜 건수는 2,220건으로 1,404건을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58.1% 증가했다. 지난해 리콜은 유형별로 리콜 명령이 1,074건(48.4%), 자발적 리콜은 962건(43.3%), 리콜 권고는 184건(8.3%)이었다.
지난해 리콜된 제품은 공산품이 683건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의약품이 344건·의료기기 330건·자동차 311건 등 순이었다. 자동차 리콜의 경우 BMW의 배기가스재순환장치 결함으로 인한 자진 리콜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8.4% 늘어난 311건을 기록했다.
특히 자발적 리콜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해당 비율은 2016년 34.9%에서 2017년 37.7%에 이어 지난해 43.3%까지 높아졌다.
리콜 건수가 대폭 늘어난 것은 전반적인 리콜 건수의 증가와 더불어 지난해 의약외품, 의료기기, 생활방사선 안전기준 결함 가공제품에 대한 리콜 실적이 새롭게 통계에 추가됐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자발적 리콜 비율이 증가한 것은 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기업들이 결함 제품의 자발적 리콜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