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라니티딘서 발암물질 과다 검출"...미 FDA 조사 결과 달라진 이유는




라니티딘 계열 의약품에서 발암우려 물질인 NDMA가 미량 검출됐다고 발표했던 미국 식품의약국(FDA) 20여일 만에 다른 결과를 내놨다. 이번에는 NDMA가 과다검출됐다고 이전과는 상반된 발표를 한 것인데 그 이유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FDA는 지난 2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지금까지 초기 제한적인 검사 결과, 라니티딘 샘플에서 ‘허용할 수 없는 수준(unacceptable levels)’의 NDMA를 검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13일 1차 조사 때 ‘미량(low levels)’이 검출됐다고 했던 것과는 상반된 발표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에서 구체적으로 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는지, 어느 제조사 제품이 조사 대상이었는 등은 밝히지 않았다.


국내선 FDA의 이번 발표에 대해 NDMA가 제조단위별로 편차가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파악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도 1차 조사와 전수조사 결과가 달라서 뭇매를 맞았다”면서 “NDMA가 제조공정 또는 보관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생성된 불순물이므로, 원료의약품의 생산시기, 보관환경 등에 따라 제조단위별로 편차가 상당히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FDA는 아직 공식적으로 라니티딘의 리콜을 발령하지 않았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월마트, CVS, 월그린 등 주요 할인 매장 및 약국들이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더불어 잔탁의 개발사인 GSK를 비롯해 산도스, 닥터 레디스, 아포텍스 등 역시 제품 회수에 들어갔으며 세계적으로는 캐나다, 한국, 독일, 방글라데시에서 정부 차원의 리콜을 내렸다.

한편 FDA는 현재 H2차단제와 PPI제제 등 다른 제산제 전반으로 조사를 확대한 상태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