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美 바이오시밀러 현황” 10월 제약. 바이오 TOP-PICK

19년은 기술이전에 따른 계약금으로 수익성 개선 예상










☞ “간염 치료제 3,000억 매출 달성하반기 바이오 TOP-PICK (클릭)









Inflectra (바이오시밀러) - 셀트리온/화이자

- WAC 기준 처방금액: 3,720만 달러 (+96.7% YoY,
+10.8% MoM,
점유율 4.9%)


- 판매 Unit: 3 9,300 Unit (+96.7%
YoY, +10.8% MoM,
점유율 6.0%)


- Inflectra 1 WAC 기준 처방금액은 전년동기대비 96.7% 상승, 전월대비
10.8%
증가한 3,720만 달러


- 판매 unit 기준 3 9,300 unit으로 전년동기대비 96.7% 증가, 전월대비 10.8% 증가

- Infliximab 시장에서 Inflectra의 점유율은 WAC 처방금액
기준 4.9%로 전월대비 0.2%p 감소, 판매 unit 기준 6.0%
전월대비 0.2p% 하락




Renflexis (바이오시밀러) 삼성바이오에피스/머크 WAC 기준 처방금액: 760만 달러 (+29.3% MoM, 점유율 1.0%) 판매 Unit: 10,034 Unit (+29.3% MoM, 점유율 1.5%)

- Renflexis 1 WAC 기준 처방금액은 760만 달러로 전월대비 +29.3% 증가

- 1월 판매 unit은 전월대비 29.3% 증가


- Infliximab 시장에서 Renflexis의 점유율은 WAC 처방금액
기준 1.0%로 전월대비 0.1%p 증가, 판매 unit 기준 1.5%
전월대비 0.2%p 확대

관련기사





☞ 2019년 하반기 정부 정책 최대 수혜주 TOP 5 (확인)



리베이트 금지 법안에 샴페인을 터트리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

- 미국 보건복지부는 제약사들이 PBM (Pharmacy Benefit Manager)에게 지급해온
리베이트를 금지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함. 이에 글로벌 제약사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 법안의 도입에 따라 1) 리베이트의 비중이 높았던 의약품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거나 투여 받는
환자의 약가 부담 감소, 2) PBM들에게 큰 규모의 리베이트를 제공하며 처방의약품 목록에서 우위를
지켜온 오리지널 제약사들의 타격, 3) 리베이트를 통해 이익을 창출해 왔던 PBM들의 피해, 4) 처방의약품을 거의 복용하지 않는 일반 Part D 가입자들의 보험료 증가 등이 예상됨





- 리베이트 금지가 정부의 지출을 증가시키고 보험료의 인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 등 일부 정치권에서 부정적 입장 표명. 따라서 예고된 2020 1 1일에 새로운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리베이트 철폐로 정해짐에 따라, 머지 않은
미래에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들의 미국 시장 진입을 억제해 왔던 리베이트 장벽이 붕괴될 전망




링크를 눌러 오늘의 추천주 수신신청을 하면 1) 매수가 2) 목표가 3) 손절가까지
한번에 받아 초보투자자, 직장인들 역시도 쉽고 빠르게 매매가 가능하다.



마이너스 계좌로 힘들었던 지난 나날, 검증된 상승 유망주 1개로 수익 전환해보길 바란다.



마니커(027740)’살까? 팔까? 후속 전략 확인하기 (클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