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수뇌급 대화채널 복원에도…강제징용 평행선만 달린 韓日

강경화 "한일 아직도 간극 크다"

日 외무성 "한국이 약속 지키길"

정상회담 확답 없어 미래 불투명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내신 기자를 상대로 최근 문제가 된 한일관계 및 북미협상 전망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내신 기자를 상대로 최근 문제가 된 한일관계 및 북미협상 전망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수뇌급 대화 채널이 열린 24일 양국은 핵심쟁점인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해법을 두고 큰 입장 차를 보였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 “서로의 입장에 대한 이해는 한층 깊어졌다고 생각되고 또 간극이 좀 좁아진 면도 있다”면서도 “(일본과) 아직도 그 간극이 크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한일 양국이 관료급에서 이뤄진 대화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문제에 대해 “지금으로서는 (한일 간) 심도 있는 협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일본의 수출규제가 먼저 철회돼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일본 외무성도 한일 총리회담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아베 신조 총리가 한일 양국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하면서도 “한국이 국가와 국가 간의 약속을 준수함으로써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려 가는 계기를 마련해줬으면 한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강제징용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일본 측의 강경한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수뇌급 회담이 열렸음에도 정상회담 등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지 못한 만큼 향후 한일관계도 험로가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이 총리가 일본까지 간 만큼 총리회담에서 구체적인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확답이 나와야 하는데 그게 없어 한일관계에 큰 진전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한일 간의 큰 기대를 걸기 어렵게 됐다”고 진단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