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원격조종 트랙터로 밭 갈고 AR 활용 농기계 정비

LGU+ 스마트팜 시연

5G망으로 트랙터 위치 정밀 측정

작물 판매·비료 구매 등 동시작업

LG유플러스가 29일 경기도 고양시 농지에서 진행한 스마트 농기계 시연회에서 농부 김수영씨가 원격 조종대에 올라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스마트 트랙터로 밭을 갈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가 29일 경기도 고양시 농지에서 진행한 스마트 농기계 시연회에서 농부 김수영씨가 원격 조종대에 올라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스마트 트랙터로 밭을 갈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경기도 고양시 일대 농지에 설치된 원격 트랙터 조종대에 올라선 김수영씨가 5세대(5G) 네트워크를 이용해 밭 위의 스마트트랙터를 움직인다. 트랙터가 자동으로 밭을 가는 동안에는 인터넷으로 비료를 주문하고, 작물도 판매하며 동시에 2~3가지 일을 처리할 수 있다. 트랙터에 문제가 생겨도 걱정 없다. 원격진단 서비스로 실시간 상태 파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소모품은 증강현실(AR) 매뉴얼을 이용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LG유플러스(032640)(LGU+)는 29일 경기도 법곳동 농지에서 이같이 5G 네트워크를 이용한 트랙터 원격제어와 무인경작을 선보였다.

LGU+와 LS엠트론이 개발한 무인경작 트랙터에는 5G 기반의 초정밀 측위 시스템인 ‘RTK’가 적용돼 트랙터의 위치를 3~10㎝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지도상에 설정한 경로로 정확히 이동시켰다. LGU+의 한 관계자는 “장소와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어 농업 생산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시간으로 트랙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원격진단 서비스도 이날 공개됐다.

관련기사



LGU+가 사물인터넷(IoT)과 AR 솔루션 선두기업 미국 PTC와 함께 개발한 이 서비스는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트랙터 내 설치된 IoT 센서가 트랙터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 트윈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부품 교체 시기 등을 예측한다. 이날 시연에서 농부가 태블릿에 설치된 앱을 실행해 트랙터를 비추자 시스템 압력, 수평 센서 등 실시간 트랙터 정보가 AR로 나타났고, 트랙터 트랜스미션 위치에 손을 대자 트랜스미션이 분해되는 과정이 3D 애니메이션으로 태블릿 화면에 표시됐다. AR 매뉴얼을 통해 소모품 교체 방법을 확인한 농부는 직접 에어크리너를 갈아 끼웠다.

LGU+는 이번 시연을 기반으로 스마트팜 분야로 서비스 분야를 확대하고 트랙터 외에도 콤바인, 이앙기 등 농기계와 포크레인, 지게차 등 이동형 장비로 적용을 넓힐 계획이다. 내년에는 첨단 농업 단지 내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2021년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이해성 LGU+ 미래기술개발그룹 상무는 “농기계 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농장 자율제어 솔루션까지 농가를 위한 원스톱 지원 체계를 갖춰나갈 계획”이라며 “다양한 업체와 상생협력 등 생태계 조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가 29일 경기도 고양시 농지에서 진행한 스마트 농기계 시연회에서 농부 김수영씨가 5G 기반의 디지털 트윈 기술이 적용된 AR 원격진단을 이용해 트랙터를 정비하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가 29일 경기도 고양시 농지에서 진행한 스마트 농기계 시연회에서 농부 김수영씨가 5G 기반의 디지털 트윈 기술이 적용된 AR 원격진단을 이용해 트랙터를 정비하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사진2) LG유플러스가 29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동 농지에서 U+5G 스마트 농기계 시연회에서 농부(김수영)가 트랙터 원격제어와 자율주행을 통해 농지를 다지고 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