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AI 등 활용 사회적가치 창출에 세계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

최태원 SK회장 난징포럼서 강조

반도체공장 등에 첨단기술 도입

오염 줄이고 소비자 편익 극대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3일(현지시간) 중국 장쑤성 난징대에서 열린 ‘2019 난징포럼’에서 개막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SK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3일(현지시간) 중국 장쑤성 난징대에서 열린 ‘2019 난징포럼’에서 개막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SK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글로벌 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24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중국 장쑤성 난징시에서 ‘AI 시대,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열린 난징포럼에 참석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난징포럼은 SK그룹이 고(故) 최종현 선대 회장의 인재육성 뜻을 기려 설립한 최종현학술원과 난징대학이 매년 공동 주최하는 학술포럼이다. 최 회장은 최종현학술원 이사장 자격으로 포럼에 참석했다.

최 회장은 23일 난징포럼 개막연설에서 “머신러닝과 AI 등의 기술은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동시에 근심과 걱정을 불러오기도 한다”며 “이 같은 기술들이 인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AI의 사회적 가치가 얼마인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SK그룹은 그룹 실적을 화폐 단위로 측정할 방법론으로 더블보텀라인(DBL·Double Bottom Line)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며 “DBL에는 고용·납세·탄소배출·보조금·기부금 등의 직간접적인 경제활동과 사회기여 활동이 모두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올 초 상하이포럼에서 SK그룹의 2018년도 DBL 측정 결과를 처음 공개한 뒤 DBL에 뜻을 같이하는 파트너들과 힘을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경우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와 사회적 가치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며 중국 국영기업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SK그룹이 장쑤성과 협력해 거둔 사회적 가치도 구체적으로 설명해 난징포럼 참석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관련기사



최 회장은 SK그룹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첨단소재 등의 분야에서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온 사례도 소개했다.

최 회장은 “반도체 공장은 AI 및 빅데이터 시스템을 도입해 수십여개의 경제적·사회적 가치 요인들을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찾아냄으로써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다”며 “전기차 배터리 소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도 배터리 수명 연장과 잔존가치 유지, 재처리 및 리사이클링 사업 등으로 환경오염을 줄이고 소비자 편익을 증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K그룹과 난징대는 최 회장이 강조한 AI 등 전문 기술인력 육성을 위해 AI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할 ‘지능형 솔루션 창신센터’ 설립 협약식을 체결했다. 또 최 회장과 SK 경영진은 러우친젠 장쑤성 당서기 등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구체적인 사업협력도 모색했다.

SK그룹은 중국에서 두 번째로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큰 장쑤성에서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첨단소재, 의료 등 사업 분야에 진출해 올해 6,800여명의 현지인력으로 127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인력 규모와 매출액이 각각 1만1,000여명, 185억달러 수준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