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부다처제’ 출신국서 또 결혼한 외국인…法 “귀화 취소 정당"

“일부일처제, 대한민국의 중요한 법질서…중요한 귀화 거부 사유”

/연합뉴스/연합뉴스



한국인과 결혼해 귀화한 외국인이 일부다처제를 인정하는 출신국에서 추가로 사실혼 관계를 맺었다면 귀화를 취소하는 것이 적법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14부(김정중 부장판사)는 A 씨가 법무부를 상대로 “귀화 취소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앞서 이슬람권 국가 출신의 A 씨는 2004년 한국인 B 씨와 결혼해 한국 정부로부터 귀화를 허가받았다. A 씨는 이후 2009년 자신의 출신국에서 해당 국적자 C 씨와 또 결혼해 딸까지 얻었다. 이슬람권에서는 법적으로 일부다처제가 인정된다.

관련기사



A 씨의 상황은 귀화 후 B 씨와 이혼한 다음에야 드러났다. A씨는 출신국에 살던 C씨와 딸을 A 씨가 한국에 입국시키려 하자 당국이 이를 의심한 것이다. 당국은 자체 조사 끝에 ‘부정한 방법으로 귀화 허가를 받았다’고 판단하고 A 씨의 귀화 처분을 취소했다. 이에 A씨는 귀화 취소가 부당하다며 소송을 냈다.

A 씨는 법정에서 자신이 출신국에서 C 씨와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민법을 어기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법적으로 ‘중혼’ 관계는 아니기 때문에 귀화 조사 과정에서 낸 호적부 등도 위·변조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 B 씨와도 정상적인 혼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이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헌법이 규정한 규범과 중혼을 금지한 민법 규정을 보면, 일부일처제는 대한민국의 주요한 법질서”라며 “나중에 한 결혼이 사실혼이라고 해도 법무부가 당사자에 대한 귀화 허가 여부에 관한 재량권 행사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사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법무부는 귀화를 신청한 사람이 대한민국의 법질서와 제도를 존중하고 준수할 자인지 살펴 귀화를 거부하거나 취소할 재량권이 있다”며 “따라서 A씨가 중혼적 사실혼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귀화 허가를 거부할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설명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