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문화재청, 전승 어려운 국가무형문화재에 맞춤형 사후지원

갓일ㆍ한산모시짜기 등 35개 전승취약종목 보유자ㆍ전수조교에게 2억 7,900만원

문화재청은 올해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취약종목 35개 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 69명에게 2억7,900만원을 사후 맞춤형으로 지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사후 맞춤형 지원은 무형문화재 전승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전승 지원금과는 별도로 제공하는 혜택이다. 작품 재료 구매나 공연 공간 임대 등 전승 활동에 필요한 금액을 보유자나 전수교육조교가 먼저 지불한 뒤 문화재청에 청구하면 심사를 거쳐 지급한다. 연간 한도는 보유자가 470만원, 전수교육조교가 310만원이다.

관련기사



이 제도는 2017년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취약종목을 신규 선정하면서 시작됐다. 전승 취약종목은 대중에게 덜 알려졌고, 사회적 수요가 부족한 비인기 종목을 말한다. 당시 갓일, 한산모시짜기, 매듭장, 낙죽장, 조각장, 서도소리, 발탈 등이 취약종목으로 뽑혔다. 기존에는 전승 지원금을 30∼40% 추가 지급하는 식으로 취약종목을 지원했다. 문화재청은 내년 4월에 전승취약종목을 재선정해 3년간 유지할 방침이다./한민구기자 1min9@sedaily.com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