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내년 박스피 탈출, U·F·C에 달렸다?

[2020년 증시전망…<상> 증권사가 꼽은 3대 키워드] |

미 대선(US election)·재정정책(Fiscal policy)·기업실적(Corporate earning)

증권사들 내년 '장밋빛' 전망 속

각국 올 완화적 통화정책 시행에

재정지출 늘어나면 호재로 작용

美 대선 '메가톤 정치 이벤트'는

상방·하방 양방향 최대 변수로

0215A23 증권사별 내년 코스피 지수 전망



‘미국 대선, 글로벌 재정 정책, 기업 실적 개선’

국내 증권사들이 내년 국내 증시를 전망하면서 공통으로 언급한 키워드다. 이들 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코스피의 방향과 정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변수가 국내 증시에 가장 유리하게 움직인다면 코스피 지수도 지루했던 박스권을 탈출해 2,500선도 넘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 등 국내 9개 증권사는 내년 코스피 지수 밴드 최상단을 2,290~2,500포인트로 전망했다. 올해 최고점(2,248.63포인트)보다 최소 2%에서 최대 11%는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한 셈이다.


증권사들이 ‘장밋빛’에 가까운 전망을 내놓은 이유는 올해보다 내년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전망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증권사의 경우 대체로 내년 국내 기업의 이익 신장률을 30% 안팎까지 보고 있다. 올해 실적의 기저효과에 더해 미·중 무역협상의 진전에 따른 수출 회복 등이 주요 근거다. 삼성증권은 내년 순이익 증가율을 전년(약 90조원)대비 약 30% 증가한 120조원으로 예상했으며 NH투자증권도 118조원으로 추정해 30% 안팎의 이익 증가세를 예상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3·4분기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이익 개선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며 “500대 대표기업의 2020년 예상 영업이익은 121조원으로 올해 대비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실적 개선세가 이보다 못할 경우 코스피 지수도 하방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증시 일각에서는 현재 코스피를 이끌고 있는 반도체 등 IT 업종 대신 새로운 산업의 성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차전지 등 신에너지 산업과 핀테크, 바이오 업종 등이 성장해 코스피의 반도체 쏠림을 막는다면 코스피의 하단 지지력도 강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증권사들은 기업 실적과 함께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른 영향을 중요한 변수로 내다봤다. 미 대선은 정치적 이벤트일 뿐만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증가했던 글로벌 정치적 불확실성의 감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본시장에서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는 시나리오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여론조사 결과 등을 보면 민주당에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는 데다 민주당 후보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비해 반기업적 성향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엘리자베스 워런 등 일부 유력 후보자들은 반자본주의적 성향까지 띄고 있으며 대중국 정책에서도 더 강경한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크다. 이런 의미에서 내년 3월 슈퍼 화요일, 4월 뉴욕 민주당 프라이머리, 7월 민주당 전국위원회의 결과에 따라 뉴욕 증시는 물론 국내 증시 변동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대선과 이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국내 증시의 상방과 하방의 양방향의 변수가 될 것”이라며 “변동성을 심화시키는 요인임과 동시에 경기부양 등의 기조를 강화할 수 있는 계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각국의 재정 정책도 내년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한 요인 중 하나다. 올해 각국 정부들의 시행한 완화적 통화정책에 재정 지출까지 늘어난다면 유동성 장세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당장 우리 정부도 내년 500조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해 놓은 상태로 특히 사회간접자본(SOC) 관련 예산 증가율이 확대됐다. 아울러 4월 총선 전후 재정집행 효과는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 대선을 앞둔 미국도 재정 지출을 늘릴 가능성이 높으며 지난 6년간 흑자재정을 유지해왔던 독일도 제조업 부진의 타개책으로 재정 지출 확대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 중국은 성장률 방어를 위해 재정 지출을 확대해 왔다”며 “내년 중국 GDP 성장률은 기존 6%에서 5%대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재정지출을 확대하려고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