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치솟는 경매 열기…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연중 최고치 기록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로 아파트 공급 감소가 예상되면서 경매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는 지난달 법원 경매로 나온 아파트들의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경매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3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법원경매로 나온 아파트들의 낙찰가율은 103.8%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다. 서울의 법원경매 아파트 낙찰가율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방침이 발표된 8월 101.8%로 올해 처음 100%를 넘겼고, 9월에 100.9%로 소폭 하락했으나 10월(101.9%)과 11월(103.8%)에 잇달아 상승했다. 11월 낙찰가율이 100%를 초과하는 서울의 아파트 수는 총 33개로, 올 들어 가장 많았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법원경매 낙찰가율만 봐도 지난달 107.7%로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강남 3구 법원경매 낙찰가율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 언급이 나온 직후인 지난 7월에 101.0%를 기록한 이래 다섯 달 연속으로 100%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지난달 경매 시장의 또다른 특징은 1회차 낙찰이 많았다는 점이다. 11월 낙찰 물건 중 서울 송파구 신천동의 진주아파트와 잠실파크리오, 서초구 방배동 방배브라운가 모두 감정가가 10억원이 넘었으나 1회차에 낙찰됐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역시 지난 3월에 진행된 1회차 입찰에서 유찰됐으나 지난달 13일에는 나오자마자 19명이 응찰해 낙찰가율 111%에 낙찰됐다. 경매 경쟁이 치열해지자 경매 참여자들이 유찰로 가격이 내려가기를 기다리기보다는 1회차 낙찰에 승부수를 거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서울 아파트 경매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새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요가 경매로 쏠리고 있는 탓이다. 실거주를 원하는 수요자의 경우에도 분양가 상한제 이후 청약 과열로 아파트를 분양받기 더욱 어려워지면서 경매시장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