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낙동강생물자원관 괴산에서 심복동굴옆새우 발전

경북 상주시에 있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충북 괴산군 심복굴에서 신종 동굴옆새우(사진)를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3월 심복굴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동굴옆새우를 채집했다. 이 새우를 최근 동정한 결과,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고유 신종으로 확인됐다.(동정: 야생생물에 대해 분류학상의 위치나 명칭을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

새우가 발견된 심복굴의 이름을 따 ‘심복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joolaei)’로 명명했다. 또한, 관련 연구 결과를 국제 공인 학술지인 ‘주택사(ZOOTAXA)’에 투고했으며 내년 초에 ‘심복동굴옆새우’ 정보가 소개될 예정이다.


동굴옆새우류는 어두운 동굴 환경 내부의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에 서식하며, 전 세계에서 동아시아지역에만 25종이 분포한다. 국내에는 이번 신종을 포함해 3종이 발견됐다.*국내 서식 3종: 심복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joolaei, 2019), 한국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coreanus, 1966), 대전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daejeonensis, 2018)

관련기사



동굴옆새우는 옆으로 누워서 헤엄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절지동물문 단각목에 속하는데 이름과 겉모습으로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게, 새우(절지동물문 십각목)와 유사하지만 계통유연관계가 다르다.

심복동굴옆새우는 진동굴성생물로서 눈이 퇴화하고 몸의 색소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오랫동안 외부와 격리돼 현재는 오직 심복굴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진동굴성생물(Troglobiont): 일생을 동굴 및 지하의 서식 공간 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생물을 말함)

서경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팀장은 “동굴과 같은 서식지를 대상으로 신종 발굴을 위한 조사를 계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주=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