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샐러리맨의 신화' 재계 2위 대우그룹 총수에서 도피자로 몰락, 김우중 그는 누구인가?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다" 글로벌 경영 철학 보여준 인물

세계 경영 신화에서 장기 해외도피 신세

말년에는 '제2의 고향' 베트남서 재기 노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지난 2014년 8월 26일 오후 대우인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동 중소기업회관에서 열린 ‘대우특별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이이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이다./권욱 기자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지난 2014년 8월 26일 오후 대우인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동 중소기업회관에서 열린 ‘대우특별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이이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이다./권욱 기자



한때 대우를 재계 2위 그룹 반열에 올려놓기도 했던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9일 향년 83세로 별세했다.

김 전 회장은 샐러리맨의 신화로 불리는 인물이다. 그가 만 30세였던 지난 1967년 섬유 수출업체인 한성실업에 근무하던 ‘청년 김우중’은 트리코트 원단생산업체인 대도섬유의 도재환씨와 손잡고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대우(大宇)는 대도섬유의 대(大)와 김우중의 우(宇)를 따서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자본금 500만원 뿐이었던 대우는 출범 첫해부터 싱가포르에 원단과 제품 수출 실적을 올리며 시장을 넓혀나갔다. 주로 트리코트 원단과 와이셔츠 수출로 대우그룹의 기반을 닦아 고인에게는 ‘트리코트 김’이라는 별칭이 따라붙기도 했다. 또한, 직접 샘플 원단을 들고 대우의 첫 브랜드인 영타이거를 알렸던 고인은 동남아에서 ‘타이거 킴’으로도 이름을 알렸다.

대우실업은 1968년 수출 성과로 대통령 표창을 받으며 급성장 가도를 달렸다. 1969년 한국 기업 최초로 해외 지사(호주 시드니)를 세웠고, 1975년 한국의 종합상사 시대를 연 이후 김회장이 이끈 대우는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창구가 됐다. 1973년에는 영진토건을 인수해 대우개발로 간판을 바꿔 달고 무역부문인 대우실업과 합쳐 그룹의 모기업격인 ㈜대우를 출범시켰다.

이후 대우의 성장은 순풍을 탄 배와 같았다. 1976년에는 옥포조선소를 대우중공업으로 만들었고, 1974년 인수한 대우전자와 1983년 대한전선 가전사업부를 합쳐 대우전자를 그룹의 주력으로 성장시켰다. 대우그룹은 또 에콰도르(1976년)에 이어 수단(1977년), 리비아(1978년) 등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통해 해외사업의 터를 닦았다.

대우그룹의 본사였던 현재 서울스퀘어 전경./서울경제DB대우그룹의 본사였던 현재 서울스퀘어 전경./서울경제DB


이 결과 대우그룹은 창업 15년 만에 자산 규모 국내 4대 재벌로 성장했다.


80~90년대에도 대우의 성장세는 거침 없었다. 전 회장은 1980∼90년대에도 저서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에서 강조한 대로 ‘세계경영’에 매진했다. 특히 1990년대 동유럽의 몰락을 계기로 폴란드와 헝가리,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 자동차공장 등을 인수하거나 설립하며 세계경영을 본격화했다.

관련기사



대우그룹의 구조조정안을 발표하고 있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서울경제DB대우그룹의 구조조정안을 발표하고 있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서울경제DB


하지만 대한민국을 국가 부도로 몰아넣었던 외환 위기 앞에 대우는 무기력했다. 김대중 정부 경제관료들과의 갈등과 마찰을 빚으면서 붕괴가 빨라졌다. 특히 1998년 3월 전경련 회장을 맡은 김 전 회장은 ‘수출론’을 집중 부각했지만, 관료들과 갈등은 여전했고 오히려 개혁의 대상으로 내몰리는 상황을 맞았다. 1998년 당시 그룹 구조조정의 최우선 핵심사안으로 꼽혔던 대우차-제너럴모터스(GM) 합작 추진이 흔들렸고, 금융당국의 기업어음 발행한도 제한 조치에 이어 회사채 발행제한 조치까지 내려져 급격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당시 일본계 증권사의 ‘대우그룹의 비상벨이 울리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온 것을 계기로 상황은 급격히 나빠졌다.

대우그룹은 1999년 말까지 41개 계열사를 4개 업종, 10개 회사로 줄인다는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을 내놨지만, 1999년 8월 모든 계열사가 워크아웃 대상이 되면서 그룹은 끝내 해체됐다. 김 전 회장은 대우그룹 분식회계를 주도한 혐의로 2006년 징역 8년6월과 벌금 1,000만원, 추징금 17조9,253억원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2008년 1월 특별사면됐다.

이후 김 전 회장은 ‘제2의 고향’ 베트남 등을 오가며 글로벌 청년사업가 양성 프로그램에 주력하며 명예회복에 나섰다.

하지만 고인은 17조원에 이르는 미납 추징금과 세금을 내지 못하고 1년여 투병 생활을 하다 가족들이 지켜보는 자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