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저금리로 차입비용이 낮아져 주택수요를 높이는 요인이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경기를 살리고 물가하락 속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커져서 금리를 인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17일 기자 간담회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세도 현저히 약화했다”며 “두 차례의 금리 인하는 거시경제 관점에서 경기회복과 물가 하방압력 완화에 중점을 둔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정부의 12·16 부동산 정책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주택담보대출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며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와 함께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치들이 함께 담겨 있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물가가 이어지는 상황은 공급 요인과 정부의 복지 강화 등 정책적 요인에 상당히 기인한다고 진단했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0.4%로 지난해 1.5%에 비해 크게 낮아져 물가안정목표인 2%를 밑돌았다. 한은은 이 같은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수요 요인과 공급 요인, 정책 요인이 모두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이 총재는 “공급 측면에서 국제유가가 올해 큰 폭 하락한 가운데 정부의 교육·의료 관련 복지정책이 확대되면서 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며 “지속적인 낮은 물가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을 이해하지만 기조적 물가 흐름은 1%대 초중반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내년 이후 점차 물가가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디플레이션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완화적 통화정책 입장도 피력했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 움직임의 변화로 인해 물가목표 달성에 불확실성이 높아져 있지만 통화정책은 완화 기조를 유지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수준으로 수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