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23~24일 방중...숨가쁜 '크리스마스 외교전'

한중·한중일·한일 회담...비핵화·사드·수출규제 문제 논의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가운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지난해 5월9일 오전 일본 도쿄 영빈관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가운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지난해 5월9일 오전 일본 도쿄 영빈관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펼쳐질 숨 가쁜 ‘크리스마스 외교전’을 위해 1박 2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23일부터 24일까지 양일간 베이징과 청두(成都)를 오가며 한중일 정상회의를 비롯해 한중·한일 정상회담 일정까지 소화한다. 한중·한일 관계 복원 문제와 더불어 22일 당 중앙군사위원회 회의에서 ‘자위적 국방력’을 강조하는 등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북한과의 대화를 진전시킬 방안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이 일주일여 남은 상황인 만큼 문 대통령의 이번 크리스마스 외교전이 비핵화 협상의 향방을 예측할 가늠자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방중 첫날인 23일 문 대통령은 오전에는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오후에는 청두에서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를 차례로 만난다. 특히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는 ‘중국의 역할론’을 요청할 공산이 크다. 막대한 대북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국에 북한으로 하여금 추가 도발을 삼가고 북미 대화를 재개하게끔 힘써달라는 것이다.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예고하며 무력 도발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성사된 이번 한중 정상회담은 대북 메시지를 발신할 적절한 시점이 될 수 있다. 베이징 회담 후 청두로 이동한 문 대통령은 리 총리와 한한령 해제 등 양국 관계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24일에는 한중일 정상회의와 한일 정상회담이 예정됐다. 특히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양자회담에서는 대(對)한국 수출규제 및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등 양국 현안이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이 한국에 수출되는 반도체 소재인 포토레지스트를 특정포괄허가 대상으로 변경하는 등 수출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을 두고 청와대 내에서는 회담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회담 전에 양국 간의 (대화의) 문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도 “한 번에 모든 한일 간의 문제가 해결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