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work life balance)’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지표상으로는 구성원들이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9일 공개한 ‘2018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보면 지난해 전국 평균 지수는 100점 만점에 50.1점을 나타냈다. 고용부 측은 “37.1점에 그쳤던 전년에 비하면 13점이나 올랐고 모든 자치단체에서 전반적 수준이 향상됐다”고 설명했지만 간신히 50점을 넘는 아쉬운 수준이라는 평가다.
전국 시도별로 살펴보면 부산시가 57.5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시가 57.1점으로 뒤를 이었다. 충북(53.2점), 세종(51.9점), 전북(50.2점)이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경남이 44.7점으로 가장 낮았고 제주(47.5점), 울산(47.9점) 등이 하위권을 형성했다.
세부적으로는 부산시의 경우 전반적으로 평균 점수를 웃돈 가운데 관련 조례 제정, 제도 확산 노력, 담당 조직 및 가족문화 관련 시설 설치 등 ‘지자체 관심도’ 비중이 높았다. 서울시는 노동시간, 휴가, 유연근로제 등 일 영역과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등 워라밸 관련 제도 활용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2017년과 비교해 워라밸 지수가 가장 개선된 광역 지자체는 전년대비 18.4점이나 늘어난 충북이었다. 부산과 세종·광주시도 전년보다 15점 이상 점수가 오르며 워라밸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부는 이 지수에 대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위탁해 일, 생활, 제도 및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산출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부 지표마다 기준값을 만들어 100점으로 설정한 다음 해당 연도별로 해당 기준값 대비 얼마만큼 도달했는지를 점수화한다. 지난해 2017년 지수를 선보인 데 이어 두 번째 발표다.
/세종=박준호기자 violato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