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1조 이상 '대어' 수두룩…올 IPO시장 풍년

SK바이오팜·호텔롯데 등 10곳

SK바이오팜을 비롯해 호텔롯데·카카오뱅크·현대카드 등 공모 규모가 1조원을 넘는 기업들이 잇따라 기업공개(IPO) 채비에 나선다. IPO를 추진하는 대어급이 10개 안팎에 달해 잠시 주춤했던 상장시장이 활기를 띨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4면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어급 가운데 상장 움직임이 가장 빠른 곳은 SK바이오팜이다. 기업가치가 5조원 이상으로 평가되는 SK바이오팜은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해 새해 상반기에 공모할 것으로 보인다. SK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이며 신경·정신질환을 포함한 중추신경 관련 신약 개발을 주력으로 한다.


SK바이오팜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6년 IPO를 진행했으나 공모를 철회하면서 시장의 충격을 줬던 호텔롯데는 IPO 추진설만으로도 IB 업계를 술렁이게 하고 있다. 당시 기업가치만 15조원에 달할 정도로 초대형 IPO이기 때문이다. 호텔롯데는 롯데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마지막 퍼즐로 꼽히는 만큼 새해에 상장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현대카드·태광실업도 상장 주관사를 선정하며 IPO 일정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한화종합화학은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승계를 위해 IPO를 추진할 것으로 분석된다. 유니콘 기업으로 평가되는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물론 카카오뱅크도 상장이 유력하다. IB 업계 관계자는 “상장기업 숫자는 많았지만 대어급 IPO가 드물면서 시장이 다소 주춤한 경향이 있었다”면서 “1조원 이상짜리 기업이 많은 만큼 기대감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7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 수는 62개로 2018년(79개)과 2019년(75개)에 비해 적었다. 하지만 전체 공모액은 8조원에 육박했다. 유가증권에 상장한 대어가 많아 상장기업 수 대비 전체 공모 규모가 컸다. 반면 2019년의 경우 공모 건수는 75개였지만 전체 규모는 4조원을 밑돌았다. 2년 전과는 달리 1조원 넘는 규모의 공모가 없었던 게 결정적이었다.


하지만 금융투자 업계는 새해 기업공개(IPO) 시장을 기대하고 있다. 상장을 추진하는 대기업이 늘었을 뿐 아니라 SK바이오팜 등 대형 바이오 기업 상장으로 바이오 벤처들의 신규·이전상장도 꾸준할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2019년 롯데리츠 흥행과 정부정책에 힘입어 공모 리츠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상장도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은 물론 양적으로도 IPO 시장이 우뚝 설 것이라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IPO 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표출하고 있다.

관련기사



최대어는 단연 호텔롯데다. 롯데그룹은 이르면 2020년에 호텔롯데 상장을 재추진할 예정이다. 롯데는 지배구조 개편 및 일본 기업 이미지 탈피를 위해 중간지주사 격인 호텔롯데 상장을 추진해왔다. 2016년 상장 추진 당시 호텔롯데의 기업가치가 15조원가량으로 평가된 만큼 상장주관사로 선정되기 위한 증권사들의 영업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SK바이오팜과 태광실업·카카오뱅크·현대엔지니어링·한화종합화학 등도 기업가치가 최대 15조원에서 5조원 사이로 평가되는 만큼 공모 규모가 조(兆) 단위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2018년과 2019년 유가증권시장 공모 규모는 각각 9,166억원, 1조4,707억원. 코스닥 공모 규모에 비해서도 작았다. 하지만 새해 이 회사들의 유가증권시장 공모금액이 4조원 이상으로 받쳐준다면 2017년 공모 규모인 7조8,188억원(유가증권시장 공모 4조4,484억원) 이상의 IPO도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기업들의 유가증권 상장뿐 아니라 특례제도를 통한 바이오 기업 등의 신규·이전상장도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코넥스 시총 1위 신약 개발사 노브메타파마는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고 코스닥 입성을 준비하고 있다. 코넥스 시총 4위인 마이크로바이옴 개발사 지놈앤컴퍼니 역시 1월 중 투자자들과 상장 시기를 논의해 상반기 기술평가 신청, 하반기 코스닥 입성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두 회사 외에도 SCM생명과학 등 다수의 바이오 기업이 코스닥에 입성할 것으로 보인다.

리츠 상장도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롯데리츠와 NH리츠 상장 성공에 우량 부동산을 보유한 유통회사와 재간접 리츠를 준비하는 금융사들이 리츠 상장에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상장에 실패한 홈플러스 역시 상장을 재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리츠와 NH프라임리츠 상장 법률자문을 맡았던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여러 유통회사는 물론 재간접 리츠를 상장하기 위한 다수의 금융사가 리츠 상장을 위한 법률 조언을 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소부장 육성정책에 따라 관련 회사들의 상장도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거래소가 소재·부품 기업 상장을 지원하기 위한 상장심사기간특례제도 등을 내놓고 소부장 특례로 상장한 메탈라이프의 주가가 공모가(1만3,000원) 대비 2배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신도기연·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관련 기업들이 예비심사를 청구한 상황이며 서남·서울바이오시스 등은 이미 예비심사를 통과해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다만 공모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 속에서도 대형 딜이 실제 IPO로 이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IPO가 유력했던 이랜드리테일·교보생명·홈플러스리츠 등도 내부·시장 상황에 따라 상장이 무산된 바 있다. 유수홀딩스 계열사 싸이버로지텍이 예비심사 청구를 철회했고 재무적투자자(FI)의 투자금 회수를 위해 IPO를 진행 중인 현대카드 역시 시장의 평가에 따라 상장을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