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 올해부터 가동에 들어간다.
행정안전부는 음성과 사진·영상까지 전송할 수 있는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고 올해부터 1단계 중부권 통신망 시범운영을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여러 재난대응 기관들이 현장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이다.
이전에는 경찰·소방·지방자치단체 등 기관마다 초단파(VHF)·극초단파(UHF) 무전기, KT파워텔 같은 상용망 등 별도 통신망을 사용했다. 주고받을 수 있는 정보도 음성에 한정돼 있었다.
하지만 재난안전용 4세대 무선 통신기술(PS-LTE·Public Safety-Long Term Evolution) 방식을 이용한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면서 관련 기관들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사진·영상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됐다.
통신은 스마트폰이나 무전기 형태의 단말기로 이뤄진다. 경찰·소방 상황실이나 일선 지구대·소방서는 물론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소방대원까지 수천명 단위의 그룹 통화를 할 수 있고 화상회의 방식의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현장상황을 영상이나 사진으로 찍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또 단말기를 가진 현장 대원이 의식을 잃은 경우 원격조종으로 음성·영상정보를 수집해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도 갖췄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총 1조5,000억원가량을 투입하는 사업으로 중부권·남부권·수도권 등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단계로 대전·충청·강원 지역을 아우르는 중부권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이 완료돼 경찰조직부터 서비스를 개시한다.
8월까지 제주·경북·경남·전북·전남·광주·대구·부산·제주 등 9개 시·도를 포함한 남부권 통신망을 2단계로 구축하고, 연말까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구축사업을 마무리해 내년부터 전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때 사고수습을 맡은 경찰·소방·지하철공사 등이 서로 다른 무선통신을 사용해 구조가 지연됐던 사례의 재발을 막기 위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경제성 등을 이유로 추진되지 못했고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논의를 시작된 지 17년만에 성과를 내게 된 것이다.
앞으로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로의 전환이 숙제로 남았다. 정부는 2014년 재난안전통신망 기반기술을 LTE 방식으로 정했지만 사업이 추진되는 사이 차세대 통신기술인 5G가 상용화됐다. 이 때문에 수년 안에 5G에 맞춰 다시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기지국과 단말기 교체 등에만 수천억원의 예산이 더 들어가게 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 특성상 현재 가장 안정적인 통신기술인 LTE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향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재난안전통신망을 5G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