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종합]"중국 본토와 국경 차단하라" 홍콩 의료인들 내일부터 파업

파업 결의에 환호하는 홍콩 공공의료인들/연합뉴스파업 결의에 환호하는 홍콩 공공의료인들/연합뉴스



홍콩의 공공 의료인 수천 명이 중국 본토와의 국경 차단을 요구하며 다음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2일 CNN방송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홍콩 공공병원 임직원들의 연합단체인 ‘의관국원공진선’은 3일부터 5일간 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파업 찬반투표 참가자의 99%인 3,123명이 찬성했고 반대는 10명에 그쳤다.


이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홍콩특별행정구 정부에 중국 본토로부터 오는 모든 방문객의 입경을 금지할 것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파업을 결정했다.

앞서 이 단체 소속 1만 3,000여명 중 8,825명이 본토와의 국경 폐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다음주 파업에 참여하겠다는 온라인 청원에 서명한 바 있다.

파업 결정에 따라 홍콩 공공 의료진은 우선 비응급 서비스부터 중단하고, 제한적인 응급 서비스로 중단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에 대해 홍콩 정부는 의료계가 총파업을 벌일 경우 신종코로나 대응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며 총파업 결의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홍콩 정부는 현재 후베이성 거주자나 최근 14일간 후베이에 머무른 적 있는 사람의 입경을 불허한데 이어 홍콩과 중국 본토를 잇는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 중국 본토인 개인 관광객의 홍콩 입경을 금지했다. 하지만 전면적인 국경 차단은 이뤄지지 않았다.

의료 노조는 “신종 코로나의 근원지인 후베이성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거짓 신고하는 사례도 가능하다”며 “총파업 결의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홍콩 내 신종코로나 확진 환자 수는 14명으로 늘어났으며, 중국 본토를 방문하지 않고도 감염된 ‘홍콩 내 감염’ 사례도 나타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14번째 확진자인 80세 남성의 경우 지난달 중순 일본 여행을 하고 돌아온 후 홍콩에 머물렀으며 지난 14일 동안 후베이성을 방문하지 않았다. 12번째 확진 환자인 75세 남성 역시 지난달 마카오를 방문하긴 했지만 이후 줄곧 홍콩에 머물렀다.

홍콩 의료인들의 총파업 결의에 이어 홍콩 최대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 노조 역시 신종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 본토와의 운항 노선을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경고하는 중이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