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2020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 '응급구조 드론'

응급구조 드론은 환자를 태운 들것에 8개의 프로펠러가 설치된 형태다. 구조대원이 휴대한 배터리 팩에 유선으로 연결해 전원을 공급한다. /사진제공=UNIST응급구조 드론은 환자를 태운 들것에 8개의 프로펠러가 설치된 형태다. 구조대원이 휴대한 배터리 팩에 유선으로 연결해 전원을 공급한다. /사진제공=UNIST



유니스트(UNIST)는 이 대학 정연우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이 디자인한 ‘911$ 응급구조 드론’이 2020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에서 수상한 이번 작품은 실제 제품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UNIST에 따르면 정 교수팀이 디자인한 응급구조 드론은 ‘하늘을 나는 들것’이다.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들것에 8개의 프로펠러와 유선 배터리팩이 연결된 형태로, 지상에서 1m 상공에 들것을 띄워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들것에 설치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수평을 유지하며, 구조대원이 갖고 있는 배터리팩과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는 팔로우미 기능(드론을 따로 조종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자동으로 따라가게 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외부에 배치해 들것의 무게를 줄이고 체공시간을 늘린 것이 특징이다.

관련기사



차진희 연구원은 “현재 산악사고가 발생하면 환자 1명을 구조하기 위해 4명 이상의 구조대원이 투입되며, 들것을 활용한 불안정한 하산과정은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며 “응급구조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비효율적이고 불안정한 구조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911$ 응급구조 드론은 디자인 컨셉에 그치지 않고 실제 양산을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정연우 교수팀은 실제 드론 제작업체인 드론돔과 함께 작동방식과 구조를 고려한 양산 설계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로 응급구조 드론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연우 교수는 “첨단 센서나 원격제어, 장애물 인식 같은 복잡한 기술이 아닌 접근하기 쉬운 보편적 기술을 적용해 디자인을 진행한 덕분에 합리적인 가격에 제작·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저개발국가와 제3세계에서도 널리 활용돼 생명을 구하는데 쓰일 수 있어 더 아름다운 디자인”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