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WHO 사무총장 "신종 코로나 첫 백신 18개월내 준비"

"코로나 정식 명칭은 'COVID-19'"

'우한폐렴' 의식 "명칭 낙인효과 막아야"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로이터연합뉴스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로이터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1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첫 백신이 18개월 이내 준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백신을) 개발하는 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동안 우리는 무방비 상태가 아니”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만일 우리가 지금 합리적이고 증거에 기초한 투자를 한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발병을 막을 현실적인 기회를 가질 수 있다”며 “만일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많은 (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훨씬 더 높은 비용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로 1,000명 이상이 숨지고 4만2,000여명이 감염된 것을 언급하면서 “바이러스들은 어떠한 테러리스트의 행동보다 더 강력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WHO가 최근 신종 코로나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에 6억7,500만 달러(약 7,995억원)의 지원을 요청한 것을 재차 언급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한 신종 코로나의 공식 명칭을 ‘COVID-19’로 정했다고 알렸다. ‘CO’는 코로나(corona), ‘VI’ 바이러스(virus), ‘D’는 질환(disease), ‘19’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이 처음 보고된 2019년을 의미한다. 그는 WHO가 세계동물보건기구(OIE), 식량농업기구(FAO) 등과 합의한 지침에 따라 정한 것이라며 “지리적 위치, 동물, 개인 또는 사람들의 집단을 지칭하지 않고 발음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질병과 관련 있는 이름을 찾아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름을 정하는 것은 부정확하거나 낙인을 찍을 수 있는 다른 이름이 사용되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하다”면서 “또한 그것은 향후 코로나바이러스가 발병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형태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