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경찰청 한강경찰대 소속 고(故) 유재국 한강경찰대 경위가 한강에서 투신자를 수색하던 중 순직한 사고가 벌어진 가운데 한강경찰대의 한 해 평균 인명구조 건수가 최근 5년간 270건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비해 인력과 장비는 충분하지 않아 한강경찰대 지원이 증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서울청에 따르면 이곳에 접수된 112신고는 지난해 2,989건에 달했다. 인명구조, 시신 인양 활동은 지난 2015년 331건, 2016년 299건, 2017년 279건, 2018년 240건, 지난해 207건으로 한 해 평균 약 271건에 달했다. 하루 한 번 출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1년의 약 74.2% 동안 위험을 무릅쓰고 생명 구하기에 나선 셈이다. 한강경찰대는 수상안전팀장 3명의 지휘 아래 망원센터·이촌센터·뚝섬센터·광나루센터 등 총 4개의 센터로 구성돼 있다.
문제는 잦은 출동·구조에 비해 한강경찰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한강경찰대는 대장 1명을 포함해 총 30명으로 이뤄져 있으며 4개의 센터에는 각 6명의 대원이 활동하고 있다. 대규모 수중수색 작업이 필요하거나 대원이 사고를 당했을 때 효율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모자라는 인원이다. 이번 사고 당시에도 5명의 대원이 수색 중이었지만 거센 물살로 순식간에 일어난 사고를 재빨리 수습하기에 충분한 인원은 아니었다.
장비 부족도 문제다. 한강경찰대는 인명구조와 인양을 위한 기본적인 잠수장비만 보유하고 있을 뿐 대원이 위험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수중 무선통신장비나 대원의 수중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은 갖추지 못했다. 경찰 관계자는 “수색인원은 많을수록 좋지만 인력 부족은 아직 해결되지 못한 고질적인 문제”라며 “장비는 기본적인 것들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취약한 상태”라고 말했다.
한강경찰대 대원 대부분은 특전사, 해병대, 해군특수전전단(UDT), 해난구조전대 심해잠수사(SSU) 등 특수부대 출신이며 선박 조종, 잠수, 인명구조 등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전문인력이다. 그럼에도 인력과 장비가 확충되지 않는다면 신고 처리는 물론이고 대원의 안전도 담보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유 경위는 모자라는 인원과 장비 속에서 어떻게든 실종자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다 변을 당한 것”이라며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한강구조대 업무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시각이 많아져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소방청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수난구조에 투입되기 전 챙겨야 할 안전관리 매뉴얼 강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하천의 경우 흙탕물이 잘 일어 탁도가 높다”며 “조도를 높이는 장비를 착용한다고 해도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워 안전관리가 중요하다”고 했다. 소방청은 유속이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잠수를 금지하고 안전이 확보된 환경에서만 구조활동을 하게 하는 등의 매뉴얼을 제작하고 있으며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