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5.9%→37.2%→41.2%...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나랏빚

[국가채무비율 40% 마지노선 붕괴]

빚추경이 건전성 악화 부채질

줄일수도 없는 의무지출이 절반

세수마저 불안...한 치 앞 안보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서 10조3,000억원의 적자국채를 찍기로 하면서 재정건전성이 급속도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선심성 복지 확대로 지출을 급격히 늘리면서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는데, 이번 추경이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금과옥조로 여겨왔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40% 방어선은 문재인 대통령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40% 마지노선의 근거가 뭐냐”고 언급한 지 10개월 만에 무너졌다.

4일 기재부에 따르면 추경 재원의 대부분이 적자국채 발행으로 조달된다. 한국은행 잉여금과 기금 여유자금에서 각각 7,000억원, 총 1조4,000억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10조3,000억원은 빚을 내 충당한다. 사실상 빚으로 재원을 마련해 추경을 하는 셈이다. 통상 추경 재원으로 사용됐던 세계잉여금이 올해는 619억원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국가재정법에 따라 전액 교부금 정산에 쓰여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번 추경은 역대 추경 중 네 번째로 적자국채 발행 규모가 크다.


‘빚 추경’이 되면서 재정건전성은 당초 정부 계획보다 크게 악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8월 국회에 제출한 ‘2019~2023년 중기재정운용계획’에서 올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39.8%로 예상했다. 하지만 코로나 추경으로 국가채무비율은 41.2%로 껑충 뛰게 된다. 지난해 37.2%(추경 기준)와 비교하면 1년 만에 4%포인트가 급등하는 것이다. 최근 5년(2015~2019년) 평균 국가채무비율 상승률이 0.6%포인트에 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상승폭이다.

관련기사



대표적 재정건전성 지표인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도 외환위기 때인 1998년(4.6%) 이후 최악으로 치닫는다. 정부는 이번 추경으로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4.1%까지 악화할 것으로 본다. 이 역시 2019년의 2.2%(추경 기준)에서 두 배 가까이 그 폭이 커지는 것이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512조원 규모의 슈퍼 예산을 짜놓고 또 적자국채를 발행해 추경을 하겠다고 하면 대외 신인도를 악화시킬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위기를 불러일으켜 사태를 키우는 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재정건전성이 앞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번 늘리면 줄일 수 없는 의무지출 비중이 이미 절반인 50%에 달한 상황에서 전체 재정지출과 이에 따른 국가채무는 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 정부는 국가채무비율이 40%를 넘어서는 시점을 오는 2021년으로 내다봤지만 이런 전망을 내놓은 지 반 년 만에 시기가 1년 앞당겨졌다. 홍 부총리는 “일시적으로 재정적자가 늘어나는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지만 단기부담에 그치지 않고 향후 재정운용에 지속적으로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

한편 당초 예상보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세입경정(세수 부족분 보전)도 3조2,000억원이나 됐다. 지난해 명목 GDP 성장률이 1.1%에 그쳐 정부 예산 편성 당시 예측했던 3%에 크게 못 미쳤고 이로 인해 2조5,000억원의 세수가 부족하게 됐다. 이외에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세제 지원 6,000억원, 신성장·원천기술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시행령 개정으로 인한 1,000억원 등의 결손이 날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