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경기하강이 본격화할 경우 대출의 상당 부분이 부실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서는 대기업이 한 곳이라도 부도를 내면 부실징후 기업들이 연쇄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하다. 금융회사들의 엄격한 여신분류로 고정 이하 여신 기업들은 벌써 극심한 상환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실물 부문의 부실이 금융회사로 본격 전이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증권사들이 심상치 않다. 당장 증권사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행사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의 만기가 이달 20일께부터 무더기로 도래한다. 증시 폭락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의 마진콜(추가 증거금 납입 요구) 대응과 맞물려 일부가 유동성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해외 부동산에 조 단위로 투자한 것도 손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6개 증권사의 신용등급을 낮춘 것은 이런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카드와 캐피털 등 여신 전문사들도 자금 조달이 막히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현 금융시장은 언제든 시스템이 깨질 수 있는 살얼음판 같은 형국이다. 금융당국은 지금이라도 다양한 시나리오를 예상해 관련 대책을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최악의 경우 공적자금까지 투입할 수 있다는 각오로 컨틴전시플랜을 짜야 한다. 당국이 조금이라도 안이하게 대응하다가는 곧바로 무서운 금융위기의 터널로 빠져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