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11일 제101주년 임정 수립 기념식 및 기념관 기공식

독립유공자 유족 및 정부 인사 등 참석

코로나19 확산 방지 위해 행사 규모 축소




정부는 11일 서울 서대문독립공원 어울쉼터에서 제101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기공식을 개최한다.

국가보훈처는 10일 “‘새로운 백 년, 희망을 짓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기념식에는 정부 주요 인사, 독립유공자 유족 등 약 100명이 참석한다”며 “올해 기념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행사 규모가 축소됐다”고 밝혔다.


기념식은 기념공연 1막, 국민의례, 대한민국임시헌장 낭독, 기념사, 기념공연 2막, 임시정부기념관 기공선포, 기념곡 제창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기념공연 1막에서는 광복군이 국기 게양 때 불렀던 독립군가인 ‘국기가’를 국방부 군악대 중창단 10명이 합창한다.

국기가의 의미를 담아 광복군 후손인 신세현 여군 소위와 박성욱 해병 상사가 태극기를 게양한다. 신 소위는 광복군 국내지대사령관 오광선 선생과 한국혁명여성 동맹원 정현숙 선생의 증손이다. 박 상사는 광복군 제3지대에 복무한 송윤화 선생의 외손이다.

또 광복회장과 임시의정원 의장 후손인 정고은(고등학생)양이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대한민국헌법 제1조 제1항과 제2항을 낭독한다. 정양은 신흥무관학교장과 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낸 윤기섭 선생의 외증손이다.


기념공연 2막에서는 임시정부 27년 대장정의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 ‘길 위의 나라’에 수록된 곡을 뮤지컬배우 김소현·손준호, 어린이 합창단이 함께 부른다.



이어 임정기념관을 국민 모두의 마음을 담아 짓는다는 의미로 참석자 모두 카운트다운과 함께 ‘태극무늬 기공 기념봉’을 누르며 기공식 선포를 한다.

참석자들은 기념곡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가’를 함께 제창한다. 이 기념곡은 1919년 11월 15일 독립신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함께 게재된 축하 노래의 가사이다. 보훈처에서 기념식 기념곡으로 사용하기 위해 2012년 작곡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조감도.   /사진제공=보훈처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조감도. /사진제공=보훈처


이번 기념식에서는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기공식도 함께 열린다. 기공식은 기념판 서명, 성공적인 건설을 기원하는 합토식, 기념관의 건축 시작을 알리는 첫 삽 뜨기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2021년 8월 완공될 예정인 임시정부기념관은 총 사업비 473억원이 투입되며, 연면적 8,774㎡(2,654평), 지하2~지상3층 규모로 건립된다. 상설·기획전시실, 라키비움(복합문화공간), 다목적홀, 수장고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은 “서대문형무소와 임시정부기념관 건립 현장이 마주 보이는 뜻깊은 장소에서 임시정부기념관 기공식을 하게 되는 것은 의미가 크다”며 “임시정부기념관이 완공되면 독립공원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잇는 ‘독립유적지 역사문화벨트’가 조성되는데 역사적인 기념관 건립이 잘 마무리되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