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우리는 조언했다, 수행 여부는 각 국가에"…코로나19 확산 책임 떠넘긴 WHO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로이터연합뉴스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로이터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가 27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 발생 초기 최고 수준의 경보를 내렸지만, 모든 나라 이 조언을 따른 것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중국 외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82명이던 지난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며 “그때 세계는 WHO의 당부 사항을 주의 깊게 들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 세계에 포괄적인 공중 보건 접근법을 이행하라고 권고했다”며 “WHO는 각국에 권고 사항을 이행하라고 강요할 권한은 없다. 조언을 거부하거나 받아들이는 건 국가들에 달렸다. 조언의 수용 여부와 책임은 각 정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국제적 공조를 거듭 강조하면서 “WHO는 계속해서 과학적 증거에 근거한 최선의 조언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이 지원하는 소아마비, 홍역, 콜레라, 황열병, 뇌막염 등에 대한 백신 캠페인이 연기돼 1,300만 명 이상에 대한 예방 접종에 차질이 빚어졌다”며 “결과적으로 아이들이 사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구촌에 Gavi가 생명을 구하는 일에 충분히 자금 지원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WHO는 최근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포에 늑장을 부렸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눈치를 보느라 사태의 심각성을 외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WHO가 “중국 편향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