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인터뷰]'소리꾼' 이봉근, 명창에서 영화배우로…"복 받은것 같아요"

/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판소리 명창으로 유명한 이봉근에게 7월 1일은 특별한 날이다. 영화배우로의 새로운 도전을 앞둔 그의 목소리는 긴장보다는 흥분된 떨림에 가까웠다. “진짜 복 받은 것 같다, 이봉근의 인생영화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그는 영화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들을 만났다고 즐거워했다.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이봉근은 ‘서편제’의 뒤를 잇는 우리 소리영화 ‘소리꾼’을 소개하며 자신의 인생과 닮아있는 인물을 연기해 행복하다고 말했다. 극 중 사라진 아내를 찾아 나서는 소리꾼 ‘학규’를 연기한 그는 동료 배우의 권유로 오디션에 지원해 주연을 따냈다.


“심사하기 위한 자리가 아니라 지원자로 오디션장에 들어간 것은 오랜만이라 아주 떨렸어요. 연극이나 뮤지컬 연기가 아닌 스크린 연기를 선보여야 하기에 자신감도 떨어졌고 불안하기도 했죠. 제 나름대로 연구를 해갔지만 결국 파르르 떨면서 연기를 했어요. 제 바닥을 보여드린 것 같았는데 심사위원들은 그 과정에서 학규란 인물의 눈빛을 봤다고 얘기해주시더라고요.”

연극과 뮤지컬 연기는 경험이 있었지만, 스크린 연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발성의 힘을 조절해야 했고, 형식보다 감정 전달을 우선순위로 생각해야 했다. 체계화된 연기를 해왔던 그에게 스크린 연기는 그렇다 할 법칙이 없는 것처럼 느껴져 막막하기도 했다. 학규라는 인물을 받아들이면서 그는 인물 자체에 집중했다. 소리꾼으로 삯을 받아먹고 사는데 공연이 적게 열리다 보니 가장 역할을 하는 사람은 아무래도 아내 갓난(이유리)이었고, 그는 아내에게 의존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쉽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말수도 적은, 결국 자신의 감정을 소리로 분출하는 인물을 만들어냈다.

“아내가 납치당하고 가정에 위기가 닥쳤을 때 자리를 비웠던 학규는 본인 스스로 용납되지 않고 늘 자책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보니 더 내면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말도 적어지고. 학규는 억제된 감정을 표출하는 수단이 소리밖에 없었을 것 같아요. 또 고생하는 딸아이를 보며 자신도 힘을 내기 위한 도구로 소리를 한 것 같아요.”

“촬영을 준비하면서 사극영화를 20편 가까이 봤어요. 연기를 다 따라 해봤는데 사람마다 연기하는 법이 다 달랐어요. 사극 연기 톤을 하는 게 굉장히 편하긴 해요. 판소리에서 쓰는 ‘아니리’조로 대사를 하면 편했지만 그건 아닌 것 같았어요. ‘천민인 학규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았을까’하는 생각이 들면서 ‘생활연기를 해야 되겠구나’라고 깨달았어요.”

/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자신만의 캐릭터를 구축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소리꾼 이봉근과 배우 이봉근으로 작품을 대했을 때의 차이점이 분명해서 오히려 혼돈을 느끼기도 했다. 그렇지만 조정래 감독은 이봉근에게 확실한 믿음이 있었다.


“소리꾼 이봉근으로서 심청가에 대해 너무 빠삭하게 알고 있으니 형식화된 연기가 나올까 두려웠어요. 감독님과 학규에 대한 인물에 대해 많은 얘기를 나눴는데 ‘학규스럽게 하라’고 이야기하셨어요. 저한테 ‘학규의 모습이 있기에 본인이 한 번 들여다보면 좋겠다’고 말씀하셨죠. 저도 소리꾼의 삶을 살다 보니 그런 시각에서 말씀하지 않았나 싶어요.”

관련기사



이봉근은 대학 시절에도 연극 몇 작품을 접했고, 국악 뮤지컬 ‘타르’에서도 연기를 하는 등 여러 작품을 접하는 과정에서 연기에 대한 재미를 찾았다. 20대 후반까지 꿈을 키웠으나 생계에 부딪히면서 꿈을 접게 됐다. 음악에 더 집중하게 됐고, 그 와중에 운명처럼 이번 작품과 인연이 닿았다.

“첫 영화라서 좋아요. 앞으로 쌓을 게 많고, 이제는 열심히 하면 저를 관심 있게 봐주시는 분들이 생기지 않을까요? 아무리 연기를 열심히 해도 대중의 관심을 못 받는 것만큼 슬프고 힘든 게 어디 있겠어요. 대중의 질타든 칭찬이든 감사한 일인데, 다음 행보에 있어 분명 관심을 가져줄 거라고, 지켜봐 주실 거라고 생각하니까 힘이 나요.”

‘영화’라는 새로운 행보를 걸을 수 있어 신이 난다는 그는 연기에 밑천이 없어서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연극이든 드라마든 자신을 불러주는 곳이 있으면 다 해보고 싶다는 각오다.

“국악 소리가 송만갑 선생님은 ‘소리꾼은 포목상과 같아서 손님이 비단 달라고 하면, 비단을 주고 광목 달라면 광목을 줘야한다’고 말씀하셨어요. 대중이 원하는 색을 제시했을 때 들려드리는 게 소리꾼의 입장인데 연기자도 똑같다고 생각해요. 다른 모습을 보고 싶어하는 분들이 분명 계실 거고, 이번에 주연을 했다 해도 단역도 충분히 할 수 있어요.”

“기회가 된다면 판소리를 배제한 연기도 하고 싶어요. 제대로 된 연기를 오롯이 보여드릴 수 있는 배역을 만나서 지금의 모습과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어요. 현대극이어도 좋고, 사극이어도 좋고, 다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음악을 할 때도 스스로 한계를 두는 것 자체를 좋지 않다고 생각하기에 연기에도 한계를 두지 않을 생각이에요.”

/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안정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