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김형철의 철학경영] 파테마타 마테마타 (고통에서 배워라)

<127>깨달음을 얻는 방법

김형철 전 연세대 교수김형철 전 연세대 교수



누구나 나이가 들면 건강에 관심이 많아진다. 누가 “뭐가 몸에 좋더라. 어떤 것을 조심해”라고 말하면 모두 귀가 쫑긋한다. 건강과 병에 관한 정보를 듣고 오면 아내에게도 꼭 전한다. 아끼는 마음에서다. “수명을 연장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신체 부분이 어딘가”라는 퀴즈를 친구로부터 들은 적이 있다. 간, 뇌, 심장 등 내장기관이 물론 중요하다. 내가 들은 답은 무릎이었다. 무릎 연골이 나가면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서 모든 신체 기관이 다 약화한다. 움직이지 못하면 오래 못 산다. 움직여야 산다. 그래서 근육을 키우기로 결심했다. 늘 다니는 동네 휘트니스 센터에서 피티를 받기 시작했다. 정말 힘들다. 숨이 꼴딱 꼴딱 넘어가기 직전까지 밀어 붙인다. 좀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이면 쉬게 해 줄 줄 알았는 데 그게 아니다. “회원님. 더 하실 수 있습니다” 라는 말과 함께 계속 진도를 나간다. “왜 피티받고 나면 근육이 아픈가요” “섬유다발로 된 근육이 끊어져서 그래요” “왜 끊어지도록 훈련해야 하나요” “그래야, 근육이 자라니까요.” 노 패인 노 개인(No pain, no gain). 고통 없는 성장은 없다. 성장통은 젊은이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인생은 고통의 연속이다. 아니 고통 그 자체다. 벗어날 길이 있을까. 생불(生佛)이 되기 전에는 쉽지 않다. 해탈한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수십년을 수행하고 명상해도 잘 안된다는데. 속세를 떠나도 졸업하기 힘든 고통을 어찌 살아내면서 없앨 수 있을까. 고통을 일시에 다 없애 버리는 좋은 방법이 있긴 하다. 아예 이 세상을 떠나 버리는 것이다. 숙주가 죽으면 바이러스도 살 터전을 잃게 되는 것처럼. 암환자에게 치료를 했더니 암세포가 현저하게 죽었다. 그런데 죽은 것은 암세포만이 아니었다. 환자도 같이 죽었다. 그런 치료를 계속할 의사가 있겠는가. 제 아무리 고통스럽더라도 목숨을 송두리째 내 버리는 것은 결코 권고할 만한 치료법이 아니다. 사람은 누구든 자살충동을 느낄 만큼 고통스러운 순간이 있다. 그렇더라도 실제로 자살하는 것은 또 다른 이야기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고통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즐기는 길 밖에 없다. 첫째 관점을 바꿔라. 나는 자전거타기를 좋아한다. 전립선에 문제가 생긴다고는 하지만, 허벅지 하나는 정말 튼튼해지기 때문이다. 자전거 타다 보면 엔진(허벅지)에 고통이 올 때가 있다. 그럴 땐 “내가 운동 좀 제대로 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하라. 뛰다 보면 땀이 비 오듯 흐를 때는 “이제 곧 시원한 바람을 제대로 느끼게 될 거야” 배가 좀 고플 때는 “내가 다이어트를 제대로 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하라. 허벅지 통증은 근육 성장의 핵심이다. 배고픈 고통없이 다이어트는 절대 불가능하다. 푹푹 찌는 고통없이 시원함을 절대 만끽할 수 없다. 이건 그냥 뇌를 속이는 것이 아니다. 고통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둘째 안티프래질하라. 비행기 타면서 짐을 부칠 때 꼭 물어 보는 말이 있다. “혹시 깨지는 물건 없나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어느 선을 넘어서면 모든 물체는 부서지게 마련이다. 사람도 조직도 마찬가지다. ‘안티프래질’의 저자이자 경영철학자인 나심 탈레브에 따르면, 어떤 물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통해 점점 더 강해진다. 대장장이는 쇠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서 불에 달구고는 망치로 내려친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쇠는 점점 단단해진다. 외부 충격으로 인한 고통의 순기능을 깨닫는 것이다.

셋째 고통을 통해서 배워라. 우리가 고통을 극심하게 느끼는 경우는 언제인가. 바로 자신이 처한 안전지대를 벗어날 때이다. 추구하는 목표가 클수록 고통도 커진다. 안전지대에 안주하면 고통도 덜 느낀다. 그렇지만 발전도 없다. 고통을 느낄 때 저절로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성찰해야 한다. 달리오는 ‘원칙’이라는 책에서 “고통과 성찰이 합쳐질 때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리더도 큰 고통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어야 크게 발전하는 법이다. 파테마타 마테마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