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속보]코로나 의심 호흡기·발열 환자 전담클리닉 1,000개소 내년 개소

진료공백방지·의료진 감염 보호 목적

광주 북구의 한 자가격리자 거주 주택에 광주 북구보건소 간호 직원이 자가격리 해제 전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방문해 방역복을 입고 있다. /연합뉴스광주 북구의 한 자가격리자 거주 주택에 광주 북구보건소 간호 직원이 자가격리 해제 전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방문해 방역복을 입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호흡기·발열 환자의 진료 공백을 방지하고 코로나19와 증상 구분이 어려운 호흡기, 발열 환자에 대한 일차진료를 맡을 ‘호흡기전담클리닉’ 1,000개소가 내년까지 설치된다.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호흡기전담클리닉은 코로나19와 증상 구분이 어려운 호흡기·발열 환자에 대한 1차 진료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크게 ‘개방형’과 ‘의료기관형’으로 구분된다. 개방형 클리닉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건소 등에 장소를 마련해 지역 내 의사가 돌아가며 진료에 참여하는 형태고, 의료기관형 클리닉은 시설·인력 등 요건을 갖춘 의료기관을 정부가 지정하는 형태다. 정부는 500개소 설치 우선 지원 비용은 3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해 지자체에 교부하고 있으며, 내년까지 총 1,000개소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보건소당 관내 1개소 이상의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설치하도록 하고, 각 지역의 인구수에 따라 추가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되면 감염 예방 시설·장비 등의 보강 지원비로 1개소당 1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지정일로부터 감염예방관리료 2만630원을 신청할 수 있어 일반 의료기관보다 높은 수가를 적용받는다. 다만 환자가 추가로 부담하는 비용은 없다. 이밖에도 진료보조 업무 등을 담당하는 인력을 올해 4개월간 한시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은 시장·군수·구청장이 하며, 의원급 의료기관이 참여가 우선이지만 병원급 의료기관도 참여할 수 있다. 국민안심병원의 호흡기 전용 외래는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클리닉을 어떤 유형으로 운영할지, 시설 규모는 어느 정도로 할지 등은 시군구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받으려면 의사 1명 이상, 간호인력 1명 이상, 진료보조(체온측정, 진료접수 등)·행정·소독을 담당하는 인력 2명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또 비말(침방울)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동선을 분리하고,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환경관리 요건도 충족해야 한다. 접수, 대기실, 진료실 등 각 구역에는 감염 예방설비와 손 소독제, 환경소독용 티슈, 이동형 음압기 등의 물품을 구비해야 한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