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해외 추가물량 국내로"...현대차 노조 '고용안정' 초점

노조, 임협 요구안 논의 돌입

年174만대 국내 생산량 유지

기본급 12만원 인상 요구할 듯

전기차 공장 등 협력 가능성 열어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무리한 임금인상 보다는 고용안정을 선택할 예정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 노조는 이날부터 3일간 울산시 북구 현대차 문화회관에서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집행부가 마련한 올해 임협 요구안에 대해 논의한 후 이르면 23일 확정할 예정이다.


집행부가 마련한 요구안은 고용 불안 해소에 초점을 맞췄다. 총 고용 보장을 위해 연간 174만대 가량의 국내 공장 생산량을 유지하고, 해외 공장에서 추가 생산할 가능성이 있는 물량은 국내로 가져와 생산토록 하는 요구가 담겼다. 또 고용안정 기금을 마련하고 완전 고용 보장을 위한 노사 사회적 합의도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년 퇴직자를 단기 고용해 활용하는 시니어 촉탁 제도 연장 확대, 퇴직자들이 당초 근무하던 현장에서 일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요구키로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자동차 시장 위축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줄줄이 인력감축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고용안정을 올 임협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노조는 전기차 전용 생산 공장을 건립하고,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한 생산방식 도입도 검토할 방침이다. 전동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생산현장의 혁신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노조는 올해 임금은 상급 단체인 금속노조의 결정에 맞춰 기본급 월 12만304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을 요구안에 담기로 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공장이 수시로 휴업했고, 수출 물량도 줄어든 상황이어서 임금협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리 성향인 노조 집행부는 그 동안 내부 소식지 등을 통해 “임금을 동결하는 대신 고용을 보장하는 독일 노사의 위기협약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히는 등 현재 상황에서는 임금인상 보다 고용안정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현대차 노조는 이번 대의원대회에서 요구안을 확정한 뒤 다음달 13일부터 사측과 교섭할 예정이다. 노조는 당초 공약대로 교섭 시작 후 2개월 이내인 추석 전 타결을 목표로 교섭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지난해 기본급 4만원 인상, 성과금 150% 및 일시금 300만원, 전통시장 상품권 20만원 지급 등에 합의하고 8년 만에 파업 없이 임단협을 끝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