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SE★현장]"세상이 필요로 하는 이야기"…'강철비2', 남북 현실 정조준

/사진=양문숙 기자/사진=양문숙 기자



“세상이 필요로 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양우석 감독)

남북 분단을 현실감 있게 그리면서 관객에게 묵직한 메시지를 던진다. 배우들의 호연과 잠수함 액션, 영화적 상상력이 덧입혀진 ‘강철비2: 정상회담’이 베일을 벗었다.


23일 오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영화 ‘강철비2: 정상회담’ 언론 시사회가 열렸다. 양우석 감독과 배우 정우성, 곽도원, 유연석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강철비2: 정상회담’은 남북미 정상회담 중에 북의 쿠데타로 세 정상이 북의 핵잠수함에 납치된 후 벌어지는 전쟁 직전의 위기 상황을 그린 작품. ‘강철비’의 속편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가깝다. 한반도의 평화체제로 가는 길이라는 문제의식을 공유, 북한 내 정변 발생과 이로 인한 전쟁 위기라는 출발점은 전편과 같지만 스토리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 전편을 상호보완해 중국이 패권국가로 급부상하면서 심화된 미-중 갈등과 일본의 견제 등 복잡한 지형 속 한가운데에 휘말린 한반도라는 확장된 시야, 그 속에서 한반도의 평화체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또한 핵전쟁과 어뢰 발사라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통해 블록버스터 영화가 줄 수 있는 높은 몰입감과 스릴, 서스펜스까지를 넣어 오락영화로서의 역할까지 해낸다.

양우석 감독은 “‘변호인’으로 연출을 시작하고 한국 영화에서 제 포지션을 고민하다가 한국에 필요한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 대한민국의 가장 큰 문제가 대북문제와 심해지는 미중 갈등 사이에 놓여있는 한국이라고 생각했다. 그걸 시뮬레이션으로 보여드리는 게 저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며 ‘강철비’ 시리즈를 기획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이어 “30년 전부터 냉전체제가 붕괴된 이후에도 한반도만 유일하게 냉전으로 남아있다. 한반도가 갈 길은 크게 네 가지, 전쟁, 협상을 통한 비핵화, 북한 체제의 붕괴, 대한민국의 핵무장이라고 생각했다”며 “사실 ‘강철비’ 1,2를 보여드린 건, 이 네 가지의 길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1,2는 전쟁과 상호 핵무장에 대한 것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체제로 가야 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영화는 잠수함에 고립돼 뒤얽히는 한국 대통령, 북한 위원장, 그리고 미국 대통령의 대화를 통해 만들어 내는 유머 또한 영화의 주제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톡톡히 활용되고 있다. 양 감독은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었다. 잠수함에 들어서는 은유를 통해 한반도의 상황을 보여드리고 싶었다. 그리고 별 것 아닌 것들로도 풍자와 해학을 통해 협상의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사진=양문숙 기자/사진=양문숙 기자


정우성은 대한민국 대통령 한경재 역을 맡았다. 강대국과 북한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국가 원수의 고뇌를 섬세하게 표현했다.


그는 1999년 개봉한 영화 ‘유령’ 이후 ‘강철비2’로 다시 잠수함에 올랐다. 정우성은 ”‘유령’과는 다른 갈등과 이야기를 하는 영화다. 시간은 이렇게 흘렀는데 바뀌지 않은 남북 현실이 안타깝다. 영화를 보고나니 감정이 치고 올라와서 머리가 멍하다”며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하며 울컥했다.

관련기사



이어 “우리 민족은 충분히 불행하지 않았나 싶다. 빨리 우리 민족의 불행이 새로운 희망으로 평화의 길로 가야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곽도원은 피도 눈물도 없이 직진하는 북한 쿠데타 주동자 박진우 역을 맡았다. 냉혈하고 한 가지 목표에 집착하며 질주한다. 그는 “제가 시나리오를 보고 작품을 선택했던 이유는 관객들이 이 영화를 보고 어떤 말씀을 나누실까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자신이 맡은 캐릭터에 대해서는 “저는 이 인물을 악역보다는 다른 인물들과 뜻과 신념이 다른 인물이라고 생각하며 연기를 했다. 다른 결로 간 연기이지만 제가 묵직하게 균형을 잡는 역할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유연석은 북 위원장 조산사 역을 맡아 파격 변신을 감행했다. 그동안 보여줬던 부드러운 이미지를 벗고 외모변화 부터 북한 사투리까지 소화했다. 그는 “근래에 제가 했던 드라마를 보신 시청자분들이 어색해 하실 수도 있고 한편으로 새롭게 느끼실 것 같다. 저 역시도 영화를 보면서 제가 제 자신을 보면서 새롭더라. 선배님들과 어울려서 북한말을 쓰면서 연기하는 게 재미있더라. 예고편에서 잠깐 제 모습을 보신 분들이 영화를 보면 어떻게 느끼실지도 궁금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위원장 준비하면서는 헤어스타일이나 의상 말투 영어 등을 감독님과 고민하고 상의해서 준비를 했다. 저 나름대로의 해석했다. 실제 인물을 모사하면서 연기를 하고 싶진 않았고 영화상에서 보여드릴 수 있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양 감독은 “영화가 개봉하기 전부터 오해를 받고, 논란이 이는 건 숙명인 것 같다. 영화를 보고나면 생각이 바뀌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과 관련해 여러 가지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는 있으나, 외교 안보는 국가 전체 차원에서 바라봐야 할 문제 아닌가 싶다. 이러한 것들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드리는 게 숙명처럼 받아들여졌다. 특정한 시각보다는, 쉽고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한편 ‘강철비2: 정상회담’은 오는 29일 개봉한다.

이혜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