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우여곡절 끝에...LGD 광저우 올레드 팹 본격 양산

23일 현지 출하식 열고 양산 시작 알려

광저우 월 6만장·파주 7만장 생산 능력

정호영 “대형 OLED 리더십 더욱 강화”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사진제공=LG디스플레이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후발 업체들과 기술격차를 확대하고 제품을 차별화해서 대형 OLED 사업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가자.(정호영 LG 디스플레이 사장)”

LG디스플레이(034220)가 중국 광저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팹의 대형 OLED 양산에 돌입하며 날개를 달았다. 23일 LG디스플레이는 이날 중국 광둥성 광저우 첨단기술산업 개발구 내 8.5세대OLED 패널공장 양산 출하식을 열었다. 이날 양산 출하식에는 정호영 사장을 비롯해 신상문 최고생산책임자(CPO)·부사장, 양재훈 경영지원그룹장·부사장, 박유석 중국CO법인장·상무 등 주요 경영진과 임직원이 참석했다.

정 사장은 현지 임직원들과 만나 “대형 OLED는 회사 미래 성장의 핵심 축으로, 신공장을 본격 가동해 양적·질적 성장을 모두 가속화할 것”이라며 “양산까지 여러 대내외 변수까지 많았지만 잘 극복하고 성공적인 양산 체제를 만들어 낸 임직원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전세계 유일한 대형 OLED 패널 생산업체인 LG디스플레이는 효율성·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광저우에 대형 OLED 생산 거점을 구축했다. 공장 준공 후 수율 문제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시장 불확실성으로 양산이 1년 가까이 지연됐다.

관련기사



LG디스플레이는 양산체제를 완성하기 위해 지난 3월, 5월, 7월 총 4회에 걸쳐 핵심 기술자(협력사 포함)들을 약 900여명 전세기로 파견했다.

광저우 신공장은 고해상도 48·55·65·77인치 등 대형 OLED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며 현재 월 6만 장의 생산 능력을 갖췄다. 경기 파주 공장에서 생산하는 월 7만장 규모에 더해 월 13만장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 앞으로 시장 수요 증가에 따라 현재 월 6만장인 생산 능력을 9만 장까지 확대한다. 두 공장의 생산능력을 극대화하면 연간 1,000만대 이상 OLED TV 패널(55인치 기준) 생산이 가능해져 규모의 경제를 통한 수익성 강화도 가능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양대 생산거점 체제가 완성되면서 앞으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대형 OLED를 대세로 만드는 데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TV 시장에서 OLED를 채택하는 업체들은 증가하고 있다. 2013년 LG전자를 시작으로 하이센스, 스카이워스, 소니, 도시바, 파나소닉, 필립스 등이 OLED TV를 생산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미국 비지오, 일본 샤프, 중국 화웨이, 샤오미 등 4개 업체가 추가로 합류해 현재 19개사가 OLED TV를 생산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OLED TV 패널 출하량이 2020년 440만대에서 매년 성장해 2025년 1,2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OLED 패널 공장./사진제공=LG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OLED 패널 공장./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