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금융가

유상증자 끝낸 케뱅, IPO까지 달린다

자본금 9,000억까지 늘렸지만

대주주 BC카드 자본력 제한적

중장기 계획으로 3년내 IPO 추진

신규 비즈니스 통한 실적개선 박차




천신만고 끝에 자본수혈을 마친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통한 2차 소생술에 돌입한다. IPO를 위해서는 신규 사업의 안착과 흑자전환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대규모 자금조달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케이뱅크의 대주주 적격 승인을 받은 BC카드의 자금조달 능력이 제한되는 만큼 IPO를 통한 자금유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중장기 발전계획으로 IPO를 3년 내 실시하겠다는 목표다. 28일 2,392억원의 유상증자와 1,574억원의 전환신주 주금 납입이 완료되는 만큼 케이뱅크 자본금은 9,000억원까지 늘어나지만 지속 성장을 위한 자금조달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케이뱅크의 한 관계자는 “경영정상화를 위해 자본 확대가 꾸준히 필요하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신규 사업이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실적 개선을 이뤄나가면서 IPO 시점을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과거 IPO를 2021년으로 목표한 바 있다”며 “현재 IPO 시점을 정할 수준은 아니지만 2~3차례 증자가 더 이어진 뒤에 기업공개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대주주에 오른 BC카드의 자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 요소다. 비씨카드는 지난 1·4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3.4% 감소한 271억원에 그쳤다. 같은 기간 현금성 자산은 3,546억원에서 2,107억원으로 40.6% 급감해 자금조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울러 2대 주주인 우리은행은 이번 유상증자 참여로 전환신주까지 포함해 케이뱅크 지분율이 26.2%까지 확대됐다. 은행법상 은행이 특정 회사의 지분을 15% 넘게 취득하면 자회사로 편입해야 한다. 재무적투자자(FI)로서 단순투자라고 해도 금융당국으로부터 규제 압박을 받을 수 있어 추가적인 자금투입이 부담이다.



결국 주주 부담 해소를 위해서도 IPO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관건은 케이뱅크의 실적개선 여부다. 대출 영업 재개에 이어 ‘개인사업자 신용대출’과 ‘100% 비대면’ 아파트 담보대출을 서두르는 배경이다. 고도화된 신용평가 모형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대환대출 때 필요한 위임 절차를 모바일로 만든 ‘전자상환위임장’도 도입해 차별성을 강화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카카오(035720)뱅크도 하반기 IPO를 본격화할 것”이라며 “은행업이 자본력 싸움인 만큼 경영 정상화 이후 케이뱅크도 IPO를 통해 공격적인 영업기반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