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폭발 사상자 5,000명 넘어서... "레바논 관료들은 위험성 6년전부터 알았다"

"피해액 17조8,000억 달할 수도"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에서 발생한 대형 폭발로 큰 피해를 입은 곡물 사일로(가운데)와 주변 지역을 사고 발생 이튿날인 5일(현지시간) 촬영한 항공 사진. /AFP연합뉴스레바논 베이루트 항구에서 발생한 대형 폭발로 큰 피해를 입은 곡물 사일로(가운데)와 주변 지역을 사고 발생 이튿날인 5일(현지시간) 촬영한 항공 사진. /AFP연합뉴스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 폭발로 인한 사상자가 5,000여명으로 늘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마드 하산 레바논 보건부 장관은 5일(현지시간) 현지 방송 알마나르TV에 베이루트의 폭발 사망자가 135명, 부상자가 약 5,000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하산 장관은 아직 수십명이 실종 상태라고 설명했다.


마완 아부드 베이루트 주지사는 이날 현지 방송 알하다스와 인터뷰에서 “폭발 피해가 발표됐던 것보다 커질 수 있다”며 “그것(피해액)이 150억 달러(17조8,200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타스통신이 전했다. 아부드 주지사는 앞서 피해 규모가 30억∼5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레바논 정부는 항구 창고에 오랫동안 보관돼 있던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이 대규모로 폭발한 것으로 추정했다. 레바논 최고국방위원회는 폭발 참사를 조사한 뒤 5일 안에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레바논 방송 LBCI는 최고국방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을 인용, 근로자들이 문을 용접하던 과정에서 화학물질에 불이 붙었다고 전했다.


레바논 정부는 폭발의 원인으로 지목된 질산암모늄을 부실하게 관리한 책임을 규명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마날 압달 사마드 레바논 공보장관은 “군 지도부에 질산암모늄 저장과 관여한 업무를 한 베이루트 항구의 직원 모두를 가택 연금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중동 지역 언론들은 폭발하기 쉬운 인화성 물질이 이렇게 대량으로 시내와 가까운 항구의 창고에 보관됐다는 사실에 경악하면서 기득권의 구조적인 부패가 근본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레바논 정부의 진상 규명이 ‘부패 스캔들’로 번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하산 디아브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폭발이 발생한 베이루트 항구 창고에는 약 2,750t의 질산암모늄이 아무런 안전조치 없이 6년간 보관돼 있었다”면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해 레바논의 고위관료들은 질산암모늄의 위험성을 6년 전부터 알았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5일 보도했다. 방송은 인터넷을 통해 공개된 관련 서류를 근거로 “베이루트 시민들은 대폭발이 일어난 뒤에야 항구의 창고에 질산암모늄 2,750t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고위 관료들은 그렇지 않았다”며 “레바논의 고위 관료들은 6년여간 베이루트 항구의 12번 창고에 질산암모늄이 저장됐고 그 위험성도 인지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13년 9월 베이루트 항구에 러시아 회사 소유의 배에 실린 질산암모늄이 도착했다. 조지아에서 모잠비크로 향하던 이 화물선은 기계 고장을 일으켜 베이루트 항구에 정박했으나 레바논 당국자들이 항해를 막는 바람에 선주와 선원이 배를 포기했다는 것이다. 세관 측은 2014년 6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최소 5차례 하역한 질산암모늄을 계속 항구의 창고에 두면 위험하다면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결정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법원에 보냈다. 세관 측은 이 공문에서 질산암모늄을 수출하든지 군이나 민간 화학 회사에 넘기는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법원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이를 지금까지 뭉갰다며, 레바논의 고위 관료들은 질산암모늄의 저장 사실과 위험성을 충분히 알았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베이루트 폭발의 충격파 세기가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20% 이상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레바논 매체 ‘데일리스타’는 이날 앤드루 티아스 셰필드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의 분석을 인용해 베이루트의 폭발 규모가 TNT 폭약 1,500t이 폭발한 것과 비슷하다고 전했다. 티아스 교수는 이 매체에 “(베이루트 폭발의) 충격파 세기는 히로시마에서 초래된 충격파의 20∼30%에 상응한다”며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