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 화가 파블로 피카소는 딜러 다니엘 칸바일러를 만나 ‘날개’를 달았고, 폴 세잔이 풀 죽지 않게 늘 다독여준 이는 파리의 화상(畵商) 앙브루아즈 볼라르였다. 레오 카스텔리가 없었다면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로버트 라우센버그, 클라스 올덴버그 등의 팝아트도 어떻게 평가받았을지 모를 일이다.
“이영희 대표님과의 관계를 ‘예술적 동지’라고 표현한 적이 있어요. 예술은 인간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인간의 행위,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예술이 만들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갤러리의 역할이 중요하죠. 갤러리는 작가와 감상자를 연결해주는 통로의 역할을 하기에 작가와 갤러리는 ‘동지적’ 혹은 ‘사회적’ 관계일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신간 ‘화가 서용선과의 대화’(좋은땅 펴냄)에서 작가 서용선은 갤러리스트 이영희와의 인연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어려서부터 미술애호가로 살다 지난 2006~2014년 종로구 삼청동과 팔판동에서 리씨갤러리를 운영하며 늦깎이 갤러리스트가 된 이영희는 2008년 서용선 작가를 처음 만나 수차례 작업실을 드나든 후 풍경화를 제안하며 인연을 시작했다. 작업에 전념하고 싶어 서울대 교수직을 박차고 나온 직후였던 서용선은 “역사와 도시를 주제로 인물을 주로 그려온” 자신이 풍경을 그리는 것에 대해 망설였다. 1978년 국전(國展)에서 소나무 그림으로 수상했고, 국립현대미술관에도 ‘소나무’가 2점이나 소장돼 있지만 이후 약 30년간 풍경을 그리지 않은 터였다.
“안 그리는 풍경으로 전시하고 싶다 하니 고민되더군요. 비엔날레나 미술관에서 풍경화 전시를 잘 하지 않을 정도로, 현대미술에서 풍경은 잊힌 장르가 되고 있었거든요. 풍경화를 그리는 게 상업성과 타협하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했고요. 하지만 풍경이라는 잠시 유보된 장르를 다시 살려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기에 그동안 시간 없다는 핑계로 손 못 대던 것을 시도해야겠다는 결심에 이르렀습니다.”
서용선은 2009년 리씨갤러리에서 개인전 ‘산(山)·수(水)’를 열었다. 일본식 조어인 ‘풍경’ 대신 우리 본래의 경관 그림을 칭하는 ‘산수’를 제목에 내세웠고 이후 4년간 매년 전시를 이어갔다. 그러면서 이영희는 서용선이 2009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고 2014년 이중섭미술상을 수상하며 한국 대표작가로 뿌리내리고 해외전시와 레지던시를 오가는 과정을 가까이서 지켜봤다. 이번에 출간된 책은 남다른 인연의 두 사람이 서용선의 작품세계에 대해 주고받은 대담집이다.
이영희는 “서용선의 작품은 안다 해도 그의 삶과 생각을 잘 알기는 쉽지 않기에 갤러리스트로서 소개하고 싶었다”며 “결코 작가예찬론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책에는 서용선이 도시와 인간을 다루는 까닭, 역사와 신화의 맥락 속에서 화난 듯한 자신의 자화상을 그리는 이유 등이 담겨 있다. “그림이 윤리적 문제를 다뤄야 하는데 사람들은 그런 문제를 다뤘기에 불편함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낀다”거나 “실체가 존재하는지를 알려고 하는 일이 예술의 본질”이라는 서용선의 대답은 왜 그의 작품이 거친 표현과 여백을 갖는지를 짐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