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위원장은 지난달 24일 사퇴하기까지 2년7개월간 민주노총을 이끌어 누구보다도 민주노총의 사정을 잘 이해한다. 그런 김 전 위원장이 얼마나 답답했으면 변화를 촉구했겠는가. 민주노총은 현 정부 들어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윈회 참여를 거부하고 장외투쟁을 고집했다. 지난해 12월 ‘제1노총’이 된 민주노총에 대해 “이제 사회적 책임을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빗발쳤지만 달라진 게 없다.
민주노총은 4월 자신들이 제안했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원포인트’ 노사정 사회적 대화의 합의문마저 정파적 이해관계 때문에 걷어찼다. 오죽했으면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이 “반찬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밥상을 걷어찬 꼴”이라고 성토했겠는가. 그런데도 새로 구성된 민주노총 비상대책위원회는 ‘민주노총 정신은 투쟁’이라며 서울시의 금지명령에도 15일 서울 도심에서 노동자대회를 강행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위기, 양극화 심화 등의 과제를 해결하려면 노동계의 협조가 절실한데 대립만 계속될까 우려된다.
민주노총이 사회적 역할을 외면할수록 고립만 자초할 뿐이다. 김 전 위원장의 고언을 새겨 정파 논리에서 벗어나 환골탈태해야 한다. 정부도 더 이상 민주노총에 끌려다녀서는 안 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경사노위 본회의에 참석해 “위기에 꼭 필요한 것은 고통을 분담하는 사회적 합의”라고 강조했다. 이 말처럼 고통분담 등 사회적 책임을 민주노총에 촉구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