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스포츠 문화

'트릴러' 공동대표 제이슨 마 "음악산업, 100% 디지털로… '뉴노멀' 받아들여야"

'뮤콘 2020' 콘퍼런스 기조연설서 '팬데믹 이후 음악산업 전망' 밝혀

"공연, '가상 비대면'으로 급속 전환… 오프라인보다 주목도 높아져"

'프리미엄 음악 콘텐츠-디지털 기술·유통 결합' 앞으로 대세로 전망

제이슨 마 트릴러 공동대표가 2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뮤콘 2020’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제이슨 마 트릴러 공동대표가 2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뮤콘 2020’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



음악 동영상 플랫폼 ‘트릴러’(Triller)의 제이슨 마 공동대표가 24일 “음악산업이 100% 디지털로 가고 있음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이런 ‘뉴노멀’은 10년 이상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가 역설적으로 음악을 더 널리 전파할 기회가 되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마 대표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서울국제뮤직페어’(뮤콘) 콘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팬더믹 이후 음악시장의 변화’에 대해 발언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한국을 찾지 못함에 따라 기조연설을 미국서 사전 녹화해 온라인으로 전했다. 마 대표는 ‘틱톡’(TikTok)의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는 트릴러의 공동대표이며, 미국에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뮤지션을 소개하는 레이블 ‘88라이징’(88rising)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88rising의 경우 한국계 뮤지션 예지(Yaeji)의 음악을 자주 소개하며 한국에서도 이름을 알렸다.


마 대표는 코로나19 사태라는 역사상 상상하지 못한 1년을 보내며 음악시장은 디지털로, 공연 시장은 가상 비대면으로 급속히 옮겨갔다고 전했다. 그는 “라이브 투어가 사실상 폐업 상태에 몰리고 내년까지도 재개가 불투명하다”면서도 “위기에서 크리에이티브가 만들어지고 기회가 생겨날 뿐 아니라 옛날 방식에서 탈바꿈한 새로운 시도도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릴러가 당초 페스티벌을 열려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온라인 공연으로 전환한 경험을 소개했다. 마 대표는 “스눕 독, 미고스 등 120명 이상의 뮤지션을 섭외해 72시간 연속으로 공연을 했는데, 순방문자 수만 500만명이었다”며 “온라인 가상 공연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공연을 완벽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팬과 아티스트 사이 접점을 마련하는 등 보완을 거치면 오프라인 공연보다 주목도가 훨씬 높아질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뮤콘 2020’의 예술감독을 맡은 가수 윤상이 24일 개회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뮤콘 2020’의 예술감독을 맡은 가수 윤상이 24일 개회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


그는 “전 세계가 하나의 ‘디지털 대륙’으로 연결된 만큼 음악산업 종사자들도 디지털을 먼저 생각하고 오프라인, 아날로그는 그 다음 순위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리미엄 음악 콘텐츠와 디지털 기술·유통의 결합이 미래 음악시장의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게 마 대표의 전망이다. 마 대표는 “앞으로도 또 다른 일상의 파괴가 있을 것이고 자연재해도 발생할 것이므로 업계 입장에서는 이중으로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며 “대면·비대면 모두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뮤콘의 예술감독인 가수 윤상은 ‘언택트 시대 K팝의 새로운 흐름’에 대한 개회연설에서 “대중과 직접 만나고 소통해야 하는 대중음악 특성상 코로나19 사태가 어느 분야만큼이나 종사자들에게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대중문화예술인들은 ‘위로’라는 화두를 외면할 수 없는 것도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윤상은 인터넷을 통한 교류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지가 숙제로 떠올랐다고 짚었다. 그는 “현재 수준 이상의 기술과 아이디어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며 “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함께 교감하는 건 예술가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장감을 느끼는 참여와 체험의 영역이라는 공연의 특성을 고려해, 이를 보완해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