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유시민 '北 통지문' 보도에 "희소식" 반색…정세현 "그 다음은 우리가 할 노릇"

25일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화면 캡쳐25일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화면 캡쳐



서해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을 항해 중인 어업지도선에 타고 있다가 실종된 40대 남성 공무원이 북한군의 총격을 받고 숨진 것으로 확인돼 파문이 확산하는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사건 사흘만인 25일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통지문을 보내오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희소식”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유 이사장은 이날 오후 유튜브로 생중계된 노무현재단 주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 대담’을 진행하던 도중 북한의 통지문이 청와대에 도착했다는 언론 속보를 접했다. 이날 대담에는 유 이사장과 문정인 대통령통일외교안보 특보,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이 참석했다.


유 이시장은 통지문 속보를 전하면서 “북한에서 대단히 미안하다고 통지문을 만들어왔다고 한다”며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했는데 북측이 통지문을 보내왔고 김정은 위원장이 대단히 미안하다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통지문 도착 소식에 분위기는 급변했다. 정세현 전 장관은 “사과하라고 하니 했네, (북한이) 말 잘 듣는 구나”라며 반색했고, 통지문 소식이 전해지기 전 “북한이 사과할 기회”라고 언급했던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은 “제가 맞았다”고 말했다.


유 이사장도 “모든 분이 연평도 북측 해역에서 있었던 사건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면 좋겠다는 소망을 (토론에서) 말씀해 주셨는데, 이 방송 듣고 그렇게 한 건 아니겠지만 여하튼 우리가 바라던 것이 일정 부분 진전된 것은 희소식으로 간주하고 논의를 계속해가자”고 했다.

관련기사



이에 정 전 장관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유감 표명을 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그들 문자로 통 큰 측면이 있다”며 “(사과 통지문은)북쪽이 그간 잘 안 보였던 행태다. 김일성이나 김정일 시대와는 좀 다른 면모”라고 상황을 짚었다.

이어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오해를 풀고 싶다는 식으로 다가왔으면 좋겠다”며 “석 달 정도는 남북간 실무적인 대화를 이뤄나가야 내년 초 (북한) 8차 당대회 이후 대미·대남 또는 대내 경제 발전 전략을 합리적이고 현실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행하게 유명을 달리한 이모씨 가족들에게는 굉장히 유감스럽고 불행한 일이지만 이것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며 “이 불씨를 어떻게 살려 나가느냐, 북한이 이 정도 나왔으면 그 다음은 우리가 할 노릇이다. 새로운 남북관계의 부활로 연결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문정인 특보 역시 “이번을 계기로 북한이 정상국가로 간다면 (우리가)달라진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6월3일 이후에 모든 통신선이 차단됐는데 오늘 통지문이 청와대에 온 것은 통신선이 우선 사실상 복원됐다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25일 온라인 라이브 방송으로 개최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행사에서 ‘한반도 평화국면의 동요원인과 대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 특보,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화면 캡쳐25일 온라인 라이브 방송으로 개최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행사에서 ‘한반도 평화국면의 동요원인과 대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 특보,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화면 캡쳐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